1111
"지키느냐, 무너뜨리느냐"
부산 지역은 이번 총선에서 여야 모두가 각별히 공을 들인 지역이다. 선거 초반 정권 심판론이 커지면서 심상치 않은 변화의 분위기가 감지됐지만 결과적으로 미풍에 그쳤다.
야도 바람이 불 것으로 관측됐던 부산 경남은 오히려 수도권에서 흔들린 새누리당을 든든하게 뒷받침한 반면, 야권에게는 높은 벽을 다시한번 실감케 했다.
부산에서 당선된 민주당 후보는 단 2명. 야권의 대선 후보로 일찌감치 새누리당 손후조 후보를 앞서갔던 사상구 문재인 후보와 재선으로 지역을 탄탄하게 닦아온 조경태 의원이 전부이다.
무소속으로 표가 나뉘면서 상대적으로 선전했던 부산진갑 민주당 김영춘 후보는 아쉽게 석패했으며, 논문 표절 논란이 일었던 사하갑 새누리당 문대성 후보도 민주당 최인호 후보를 아슬아슬하게 따돌렸다.
부산은 물론 기대했던 경남에서도 김해갑 민홍철 후보를 제외하고 김해을 김경수 등 친노 진영 후보들이 모두 고배를 마셨다. [BestNocut_R]
이같은 결과에 대해 야권이 12월 대선 전초전 성격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선거 초반 '영남벨트론'으로 그럴 듯하게 시작했지만 주요 구호는 단지 '지역구도 타파'에 그쳤을 뿐 대선에 대한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것이다.
선거 막판에 문재인 후보가 '국회의원 한 번 하려고 나온 게 아니다'며 대선 출마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기는 했지만 메시지는 강렬하지 않았다.
차기 대선에 대한 확실한 밑그림 없이 '친노 프레임'으로 밀고 가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야권 관계자는 "새누리당의 문재인 포위 전략이 성공했다"며 "문 후보는 승리했지만, 패배했다고 볼 수 있다. 대선 주자로서 기대했던 가능성을 보여주지는 못했다"고 평했다.
새누리당이 공학적 계산으로 철저히 텃밭을 챙겼던 것도 승리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박근혜 위원장은 수차례 부산을 내려가 지역구를 챙겼으며 개별 후보들을 촘촘하게 지원해왔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막연히 바람에 기대며 치밀한 선거 전략을 펼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 민주노동당 강세 지역이었던 창원, 울산, 거제 등 경남 지역에서 노동자들의 표가 이완돼 통합진보당이 전멸한 것도 야권에게는 타격이다.
통합진보당 우위영 대변인은 PK의 고전에 대해 "대선의 전초전으로 임했어야 하는데 야권의 전반적인 선거 전략이 미흡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며 "구 민주노동당의 전통적 지지층인 노동자들을 얼마나 더 단단하게 더 단단하게 결집시키느냐도 과제로 남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총선 결과로 대선 민심까지 단정짓기는 이르다.
문재인 후보를 비롯해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원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 유력한 야권 대선 주자들이 PK 출신이어서 완성된 판이 짜여진다면 변화의 바람이 일 수 있다.
야권 관계자는 "이번 총선에서 PK 지역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기 때문에 그 지역 민심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대선 판이 짜여질 것"이라며 "이 지역이 대선 정국에서도 판세의 캐스팅보트를 쥐는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