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목동에 사는 주부 한가람(가명) 씨는 두 아이를 키우고 있다.
그녀의 주방에는 스테인레스 식기 뿐이다. 플라스틱 식기는 찜찜해서 안 쓴지 오래됐다.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그런 그녀가 도자기 그릇에서 유해물질인 납이 대량으로 검출됐다는 실험 결과를 기자가 보여주자 소스라치게 놀랐다.
세라믹 용기는 그래도 안전하다고 보고 집에서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그녀는 "용기에 무슨 성분이 들어있는지 누가 알려주지 않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불안감을 나타냈다.
이어 "앞으로는 살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어떤 성분이 포함돼 있는지 표시돼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한 씨의 요구에 대해 물어봤다.
식약처의 답은 모든 성분을 표시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을 뿐 아니라 일일이 표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었다.
식약처 전대훈 연구관은 "만든 제품의 성분이 1년 내내 10년 내내 같을 수가 없다. 로트(1회에 생산되는 제품의 숫자)마다 다르다. 매번 똑같은 원료가 수급될 수 없기 때문이다. 날씨(생산 환경)도 계속 바뀌는데 일정하게 성분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지 의문이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공산품에서 유해화학물질을 분석해 낸 노동환경보건연구소측은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최인자 연구원은 "가령 100개의 제품을 만든다고 할 때 100개 모두의 성분을 검사해 따로 따로 표시하는 게 아니라 무작위로 몇 개를 골라 성분 함유량을 분석한 뒤 평균값을 표시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현실적으로 함량을 표시하는 것이 어렵다면 적어도 함유 여부만을 표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