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금융/증시

    끝없이 떨어지는 환율, 어디가 바닥인가

    지난 10일 오전 서울 을지로 외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달러당 환율이 1033.20원을 나타내고 있다. 송은석기자/자료사진

     

    지난 2월 3일 1,086원이던 원·달러 환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4월 11일 불과 2개월 사이 50원이 떨어진 1,036원을 찍은 뒤 주춤하고 있으나 여전히 하방압력이 크다.

    원·달러 환율 하락 요인은 달러유입이 많아진 때문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10일 금통위 직후 기자회견에서 환율 하락 이유에 대해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상당히 크고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불안요인이 완화되면서 외국인 주식 채권자금이 다시 유입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렇다고 외환당국이 환율에 개입할 상황은 아니다. 무엇보다 경상수지 흑자가 수입감소량이 더 많아서 발생하는 불황형 흑자구조이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좀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될 기조를 보이고 있고 유럽과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양적완화(QE) 정책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가들도 외환당국의 개입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주식시세 차익이나 환차익을 위해 지속적으로 자금을 투입할 가능성이 높다.

    LG경제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030원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 같은 환율 하락이 위기국면으로 번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관측이 많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윤덕룡 선임연구위원은 “만약 환율이 올라간다면 외환보유고를 풀어서 방어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환율이 떨어지는 것은 우리가 언제든지 돈을 풀면 되기 때문에 큰 문제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적당한 시점에서 당국이 결단하면 된다는 뜻이다.

    물론 수출 둔화가 가속화되거나 신흥국에서의 위기 발생 등의 변수에 대해서는 신경을 써야한다.

    또 내수활성화를 통해서 장기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불황형 흑자를 탈피하기 위한 투자 활성화 등의 대책도 필요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