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재외공관, 개인정보 '수시열람'…"이유 불분명"

감사원 감사결과 예산 횡령도 무더기 적발

외교부 재외공관들이 여권발급 과정에서 획득한 개인 정보를 관련 없는 업무를 위해 무단으로 열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무슨 이유로 열람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상당수인 것으로 드러나 재외공관이 정보 유출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감사원은 지난해 9∼10월 외교부와 그 산하 25개 공관 및 해외사무소를 감사한 결과를 9일 공개했다.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 권한 밖 열람, 개인정보 왜 들췄는지도 "몰라"

재외공관이 여권정보시스템을 이용해 여권사무와 무관한 개인정보를 열람한 실태를 들여다 보면,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14개 공관에서 적게는 1건, 많게는 2564(주나고야총영사관)건에 이른다.

각 공관들은 여권정보시스템을 이용해 개인의 가족관계와 병무행정, 심지어 사건사고 여부를 살폈다. 이는 여권사무 이외의 목적으로 개인의 정보가 사용될 때, 정보주체에게 사전동의를 받도록 한 전자정부법에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다.

이런 식의 '권한 밖 열람'보다 더 큰 문제는 공관이 개인정보를 왜 열람했는지 그 이유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주나고야총영사관이 여권사무와 관계 없이 열람한 2564건 중 2091건을 분석한 결과, 1281건(61.3%)은 열람 사유 자체가 불분명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여권사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개인정보가 제 3자에게 제공됐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외교부는 여권정보시스템의 문제를 검토하거나 보완하는 조치를 취한 적이 없다.

외교부 관계자는 "사고가 났을 때 가족을 찾는다든지, 재외선거 관련 등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불법적인 '의도' 없이 개인정보가 열람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감사원 지적 사례들에 대해 전수조사를 하고 있고, 만약 문제가 있다면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8억 2천 들인 영상회의시스템, 방치하다가 감사시점 1회 활용

이밖에도 외교부는 2009년부터 감사 개시 시점까지 8억 2천 만원을 들여 마련한 글로벌영상회의시스템을 4년 간 한 차례도 활용하지 않고 방치했다. '청와대의 소집 지시가 없었다'는 게 그 이유다.

그러다가 감사원 감사가 시작되자 외교부는 부랴부랴 본부와 주프랑스대사관 간 영상회의시스템을 사용한 뒤 '영상회의 정례화 추진 계획'을 수립하는 등 이른바 '뒷북'을 쳤다.

(자료사진)

 

◈ 일부 파견 군인들 예산 횡령하기도

재외공관에 파견된 간부급 군인들이 공관 운영경비를 '쌈짓돈'처럼 사용한 것도 감사 결과 적발됐다. 주 칠레대사관 무관부에 근무했던 한 공군중령은 2009∼2012년 관서운영비로 자신과 가족의 식료품, 화장품 등을 구입하며 3만 달러(한화 3천만원) 상당을 횡령했다. 같은 기간 한국국제협력단(KOICA) 주과테말라 주재원사무소의 한 차장급 주재원은 2천8백만원 상당의 사무소 운영비 등을 횡령했고, 이를 개인 주차비와 주택 임차료 등에 썼다.

0

1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