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파라벤 치약, 기준치 안 넘어도 핏속 계속 떠돌아"

보건/의료

    "파라벤 치약, 기준치 안 넘어도 핏속 계속 떠돌아"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박용덕 (경희대 치과대학 교수)

    우리가 하루에도 세 번씩 쓰는 치약, 그런데 시중 치약의 3분의 2가량의 제품에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국감을 앞두고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이 공개한 내용인데 대체 무슨 내용인지 전문가에게 자세히 들어보죠. 대한예방치과학회 부회장이세요.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박용덕 교수 연결이 돼 있습니다. 박 교수님 안녕하세요?

    [김현정의 뉴스쇼 전체듣기]


    ◆ 박용덕>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이번에 문제가 된 성분, 구체적으로 어떤 건가요?

    ◆ 박용덕> 트리클로산과 파레벤. 이 두 성분이 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이게 얼마나 위험한 성분입니까?

    ◆ 박용덕> 자세히 설명해 드리면 파라벤 같은 경우는 일종의 방부제입니다. 트리클로산도 마찬가지로 균을 억제해 주는 항균제로 쓰고 있습니다. 이런 성분들이 인체 내에 들어가게 되면 성호르몬하고 굉장히 밀접합니다. 어린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고환암, 성인 여성 같은 경우에는 유방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는 아주 무서운 물질입니다.

    ◇ 김현정> 성호르몬을 교란시켜서 고환암 혹은 유방암을 일으킬 수 있다, 듣고 보니까 좀 무시무시한데 그런데 시중 치약의 3분의 2에 이 성분이 들어가 있다고요?

    ◆ 박용덕>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교수님, 이게 무슨 시중제품들이 다 불법제품도 아니고, 식약처에서 허가를 받은 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식약처에서 그런 사실을 모르고 허가를 해 줬을까요?

    ◆ 박용덕> 아닙니다. 인체에 해롭다 하더라도 기준치가 있거든요. 파라벤 같은 경우는 0.2% 정도인데요, 치약 한 개에 100g이라고 가정을 했었을 때 0.2g이 들어가 있는 거죠.

    ◇ 김현정> 그 정도는 괜찮다?

    ◆ 박용덕> 하지만 그게 그렇지 않습니다. 그 0.2g이 한 번 쓰이게 되면 괜찮지만, 이것이 구강 내에 누적이 되는 특징이 있는데 누적이 되면 혈류를 타고 오랫동안 체내에 잔존하겠죠. 이것이 이제 문제가 되는 거죠.

    ◇ 김현정> 식약처에서 제시한 0.2g 같은 기준치 자체도 전문가들이 보시기에는, 좀 너무 넉넉하게 준 기준치 아니냐, 위험한 기준치다, 이렇게 보시는 거예요?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 박용덕> 그렇습니다. 국내에서는 0.2%인지 몰라도 유럽 같은 경우에는 거의 쓰지 않는 물질로 가고 있거든요. 특히 미국 같은 경우에는 파라벤이 무해하다는 걸 증명할 경우에만 사용을 허가하는 엄격한 잣대가 있습니다. 그래서 국내에서 외국보다 4배에서 5배 높은 규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문제가 되고 있죠.

    ◇ 김현정> 그러면 외국 사람들은 치약을 어떻게 만듭니까? 교수님 말씀대로라면 항균작용하는 방부제 없이는 지금처럼 유통기한 긴 치약을 만들 수 없다는 건데요.

    ◆ 박용덕> 항균제라면 그런 약품 말고도 굉장히 많습니다. 천연물질이라든가 널려 있는 게 그런 물질들이고요.

    ◇ 김현정> 그러면 천연물질을 쓰면 되는데 우리나라는 왜 천연방부제를 안 쓰고 위험한 것들을 쓰죠?

    ◆ 박용덕> 그건 아마 유통기한 때문인데요. 치약을 보시면 3년 정도의 유통기한을 둔 치약들이 되게 많을 겁니다.

    ◇ 김현정> 그렇더라고요.

    ◆ 박용덕> 그렇게 유통기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화학물질을 쓰고 있는데요. 사실 방부제를 전혀 쓰지 않아도 보통 3개월 내지 6개월의 유효기간을 가질 수 있고요. 그 기간 내에만 소모한다면 유해성분을 우리 인체 내에 넣지 않고 충분히 치약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 김현정> 그러면 외국은 트리클로산이나 파라벤을 못 쓰게 하기 때문에, 유통기간 짧은 천연기간 치약들만 시판이 가능한 상태인가요?

    ◆ 박용덕> 방부제라 하더라도 이런 파라벤 같은 걸 쓰지 않고 다른 방부제를 쓰고 있는 거죠.

    ◇ 김현정> 천연까지는 아니더라도, 화학이라도 파라벤이나 트로클로산은 아닌? 그러면 우리나라 치약업계도 찾아야 겠는데요?

    ◆ 박용덕> 이미 다 가지고 있을 겁니다, 그러한 정보는.

    ◇ 김현정> 근데 안 쓰는 이유는 뭔가요? 그래도 유통기한이 파라벤이나 트리클로산보다는 짧기 때문에?

    ◆ 박용덕> 네, 그렇습니다. 일단 대량제조를 하다 보니까 쉽게 공장라인을 바꿀 수는 없겠죠.

    ◇ 김현정> 파라벤하고 트리클로산이 가장 강하고 효율적인 거군요, 치약업체 입장에서 볼 때는?

    ◆ 박용덕> 그렇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러다 보니까 그걸 썼던 건데. 이제는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인체를 생각한 항균제를 써야하지 않느냐, 이런 말씀이세요.

    ◆ 박용덕> 맞습니다.

    ◇ 김현정> 교수님 말씀대로 치약업계들이 빨리 바꿔야 될 텐데 그 전까지는 우리가 이 치약을 써야 되지 않습니까? 우리 소비자들이 당장 할 수 있는 건 뭘까요?

    ◆ 박용덕> 치약을 사용하고 난 다음에, 최소한 7번 또는 8번 정도 강하게 입을 헹궈내면 파라벤의 농도가 급격히 떨어집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아예 소금 쓰는 것도 괜찮겠어요, 이런 식이라면?

    ◆ 박용덕> 그런데 소금 같은 경우에는 치아를 마모하는 특징이 강하기 때문에요.

    ◇ 김현정> (웃음)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도움 말씀 듣도록 하죠. 고맙습니다.

    ◆ 박용덕> 고맙습니다.

    ◇ 김현정>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박용덕 교수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