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숭례문 화재 7년…우리 문화재, 이제는 안녕할까요?

사회 일반

    숭례문 화재 7년…우리 문화재, 이제는 안녕할까요?

    세계유산 등재 추진중인 '한양도성' 내 문화재 점검

    숭례문 화재 사건이 일어난 지 7년. 2008년 2월 10일 불타던 국보 1호는 정부와 국민들에게 문화재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지만 7년이 지난 지금, 우리 문화재는 안녕할까.

    CBS노컷뉴스는 5일 황평우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과 함께 서울 한양도성 내 대표 문화재들을 돌아보며 문화재 보호의 현주소를 점검해보았다. 사적 10호인 한양도성은, 문화재청이 내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대상이다.

    (왼쪽부터) '홍지문' 대문 앞에 치워지지 않은 토사물이 보인다. '홍지문'의 풍경. (사진=홍영선 기자)

     

    ◇토사물에 동물 분뇨, 담배꽁초…홍지문은 '몸살'

    이날 오전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서울 종로구 홍지동의 '홍지문(弘智門)'이었다. 서울성곽과 북한산성을 연결해주는 탕춘대성의 성문으로, 서울성곽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현재는 서울 서대문구와 종로구의 경계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왕산 등산로 옆 도로에 바로 인접해 평소 많은 주민들이 드나드는 문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홍지문은 사람들이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 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이날 홍지문 대문 바로 앞에는 토사물이 떨어져 있었고 동물의 분뇨도 점점이 눈에 띄었다. 새벽에 관리자가 청소를 했는지 쓰레받기는 문 근처 아무데나 내팽개쳐져 있었으며 곳곳에는 담배꽁초가 널부러져 있었다.

    황평우 위원은 "문화재가 있는 곳은 흡연이 금지된 구역"이라며 "금연 팻말이 있어도 담배꽁초가 곳곳에 놓여있는 것을 보면 이 근처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홍지문은 북한산성으로 연결되는 굉장히 중요한 문으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지문과 탕춘대성이 이어지는 곳은 흉물스런 철조망으로 막혀있는데, "도대체 어디 국적인지 모를 철제 울타리"라는 게 그의 말이다.

    '삼선 어린이공원'의 놀이기구 너머 삼군부 총무당이 보인다. (사진=홍영선 기자)

     

    ◇놀이터에 갇힌 조선의 '국방부' 삼군부 총무당

    홍지문을 지나 이번엔 서울성곽 내의 조선시대 관청을 살펴보기로 했다. 대상은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삼군부 총무당. 조선의 군사업무를 담당하던 삼군부 청사로, 이를테면 현재 국방부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맞닥뜨린 것은 파랑 보라 형형색색의 놀이기구가 가득찬 '삼선 어린이공원'. 그 가운데 삼군부 총무당이 자리잡고 있었지만 기대했던 조선시대 국방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황 전문위원은 "조선시대 국방부가 놀이시설에 갇힌 꼴"이라고 비판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에는 삼군부 총무당을 "조선시대 관아건물로서 희귀한 문화재"라고 평가하면서도, 그 쓰임새조차 알 수 없도록 '전혀 희귀하지 않은' 문화재처럼 관리하고 있었다.

    황 위원은 "일제시대에 일본이 군 본부 건물을 일부러 안 보이는 곳으로 옮긴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제대로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없는 것도 문제지만, 건물의 역사적 의미에 맞게 보호하려는 움직임조차 없는 건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동묘' 앞에 북적이는 중고 물품 노점상들. (사진=홍영선 기자)

     

    ◇ "동묘가 보물인가요?"… 노점상 옷가지에 화재 위험성↑

    마지막 대상은 한양도성의 정신적 수호신 역할을 했던 동묘. 동묘는 중국 촉한의 명장 '관우'를 숭배하며 제사지내는 묘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과 명군이 왜군을 물리칠 때 관우 신령에 덕을 얻었다 해서 선조 32년에 착공한 건축물이다. 보물 제142호로 지정돼 있기도 하다.

    지하철 동묘역 1번 출구에서 내리자마자 동묘가 자리잡은 동묘공원까지 줄지어 늘어선 노점상들은 짐보따리를 풀고 장사에 여념이 없었다. 문화재인 동묘 옆에는 담장 하나를 경계로 구제옷부터 그릇, 골프채 등 각종 중고물품이 즐비했다.

    동묘공원 앞 노점상에서 옷을 보고 있던 조모(23) 씨는 "중고물품 등 특이한 것이 많다고 해 놀러왔다"며 "이곳이 보물인지는 몰랐다"고 말했다.

    동묘공원에 들어가기 전 입구에는 '금연' 표시가 무려 10개 정도 붙어 있었지만, 담배를 입에 물고 진입하는 사람들은 어렵지 않게 목격됐다. 또 대부분의 노점상인들 역시 담배를 피워대 화재 위험성은 더욱 높아 보였는데, 황평우 위원은 "팔려고 내놓은 옷가지에 자칫 불이라도 붙어 공원내로 넘어간다면 막을 길이 없다"고 안타까워 했다.

    공원 안에서 근무중인 관리인은 "우리는 동묘공원 안만 관리할 뿐, 밖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면서, "장사하러 오는 사람들을 막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가까운 곳에 있어 오히려 소중함을 놓치고 마는 홍지문과 삼군부 총무당 그리고 동묘에서 접한 모습들이 오늘 우리 문화재의 현주소인 셈.

    "숭례문 화재로 잃었다고 슬퍼할 게 아니에요. 우리 스스로 주변에 문화재를 정말 문화재처럼 대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어요".

    정부의 노력뿐 아니라 문화재에 대한 시민의식이 각성될 필요가 있다는, 황평우 전문위원의 탄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