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중동호흡기 증후군, 즉 메르스(MERS) 확진 환자가 발생한데는 질병관리본부와 의료기관 등의 거듭된 환자 관리 부실 탓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추가 피해마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 보건당국 추적관리 아쉬워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대전에서 처음으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A(남·40)씨는 지난달 15일부터 17일까지 경기도의 B의료기관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다.
B의료기관은 지난달 20일 C(남·68)씨가 국내에서 첫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곳으로 A씨는 C씨와 같은 병동에서 치료를 받았다.
A씨가 C씨로부터 2차 감염됐을 가능성인데, A씨의 갑작스런 확진 판정은 C씨와 함께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에 대한 보건당국의 ‘추적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반증한다.
◇ 안일한 의료기관A씨는 지난달 22일 오후 8시쯤 대전의 D의료기관 응급실을 찾았다. 증상은 설사와 발열.
28일 다른 의료기관으로 옮기기까지 6일 동안 입원했지만, 병원 측은 메르스 가능성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질병관리본부가 밝힌 메르스 증상과 거리가 먼 설사 증상이 나타난데다, A씨가 경기도 B의료기관 등 메르스와 관련된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게 병원 측의 주장.
하지만, 6일의 입원에도 증상에 변화가 없자 옮겨진 인근의 종합병원에서는 입원 이틀째 메르스를 의심, 지역의 국가지정병원으로 A씨를 이송하는 절차가 이뤄졌다.
D 의료기관의 보다 정확하고 세심한 판단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 입원 전 5일간 행적은보건당국의 추적 관리 실패와 지역 의료기관의 안일한 인식 등은 결국 시민들의 불안이 되고 있다.
A씨가 국가지정병원에 이송되기까지 두 곳의 의료기관을 거쳤기 때문. 보건당국은 A씨의 가족과 의료진 등 150여명을 격리 조치했지만, 시민들의 불안감을 가라앉히기에는 역부족.
시민들은 무엇보다 A씨가 지난달 17일 경기도의 B의료기관을 퇴원한 뒤 22일 대전의 D의료기관을 찾기까지 5일간의 행적에 대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감염자로서 아무런 관리도 받지 못하고 사실상 방치된 채 일반인들과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A씨가 접촉한 인물에 대한 추적 관리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민 노현수(38)씨는 “처음부터 감염자를 중심으로 한 추적관리가 제대로 이뤄졌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확진자에 대한 치료도 중요하지만, 보다 체계적인 추적 관리도 시급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