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대한민국이 ‘메르스(MERS) 공포’에 휩싸였다. 지금으로부터 12년 전인 2003년 4월 중국의 심장 ‘베이징’도 ‘사스(SARS) 창궐’로 도시 전체가 공황에 빠졌었다. 당시 기자는 칭화대학에서 어학연수 중이었다. ‘메르스 방역’에 필요한 교훈을 찾고자 베이징의 상황을 날짜별로 되짚어본다. [편집자 주]
지난 2003년 4월 중국의 수도 베이징의 한 도로를 구급차량이 지나고 있다. 사스가 창궐하면서 대중교통에 대한 방역이 당시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사진=변이철 기자)
보건복지부는 5일 메르스 관련 브리핑에서 메르스 환자가 탄 대중교통 시간과 행선지 공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메르스 공포가 전국으로 퍼지고 있는 가운데 대중교통 수단이 메르스 전염의 주요 경로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수도권 버스나 지하철에서 기침하는 사람이 있으면 화들짝 놀라 자리를 피하는 승객들의 모습이 심심치 않게 목격된다.
지난 2003년 4월 사스(SARS)가 중국의 수도 베이징을 강타했을 때에도 중국 당국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 대한 '전염 차단'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총력 대응했다.
베이징에서 격리치료를 받던 '사스 의심환자'가 무단이탈해 기차를 타고 귀향하는 사건이 벌어져 한바탕 소동이 빚어졌다
2003년 4월 24일 저녁, 숙소에서 TV를 보고 있는데 한 중국인 학생이 전화를 걸어 왔다. 기자는 당시 베이징시 차오양구(朝陽區)에 있는 'UKAN 외국어학원'에서 한국어를 가르쳤다. 사스가 급속히 확산하자 학교뿐 아니라 사설학원도 문을 닫았다.
"선생님,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몸조심하면서 주로 방에 있지 뭘…."
"지금 북경 상황이 정말 안 좋아요! 제 언니가 기자인데요. 방금 북경 사스 발생지역을 문자메시지로 보내왔어요."
"그래? 어디 어딘데?"
"불러드릴 테니까, 잘 들으세요. 지하철 ‘추성먼역’과 ‘동즈먼역’, 왕푸징에 있는 대형쇼핑센터 ‘동방광장’, ‘중국 국제무역중심’, 술집밀집지역 ‘싼리툰’, 대형할인매장 ‘까르푸’, 상업은행 해정구 지점, 북경동물원, 전자상가밀집지역 ‘중관춘’, 그리고 각 대학과 병원 주변 지역 등이에요. 참고하세요."
2003년 4월 베이징에서 사스가 창궐하면서 시민들은 대중교통 이용에 큰 불안감을 드러냈다.(사진=변이철 기자)
모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특히 관심을 끈 곳은 지하철역이었다.
'사스'에 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쇼핑센터와 술집 등 늘 인파로 붐비는 장소는 이미 사람들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대중교통 이용'은 여전히 서민들의 삶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불안감도 날이 갈수록 커졌다. 버스 승객은 물론, 기사와 안내원까지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은 이제 낯선 풍경이 아니었다.
중국당국도 대책 마련에 애쓰고 있었다. 24일 저녁, 베이징 TV(BTV)는 열차와 대중교통, 항공 등 교통담당 고위 관료를 불러내 긴급 토론회를 개최했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버스와 택시, 열차와 선박, 항공기 등 모든 교통수단에 대해서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고열과 기침 등 사스 의심증세'가 있는 사람은 절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셋째, 항공기와 열차, 선박을 이용하는 승객에 대해선 '사스 의심증세'가 있는지 사전에 철저한 검사를 하겠다.
넷째,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불법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는 '저질 마스크'도 정부 당국자들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겉봉에는 ‘16겹 마스크’라고 적혀있지만, 막상 뜯어보면 헝겊이나 솜으로 엉성하게 만들어진 것들이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