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정치 일반

    오바마, 자신을 '깜둥이'라 모욕한 이유?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 채널 : 표준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CBS 김진오 선임기자

    앵커) 김진오의 눈... 김 기자, 어서 오세요.

    ▶ 오늘 첫 뉴스 키워드는 무엇으로 시작할까요?

     

    = 예, 게릴라 메르스입니다.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확산됐던 메르스 1차와 2차 유행은 사실상 진정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어제까지 36명의 감염자를 낳은 평택성모병원과 84명의 감염자가 발생한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메르스 유행의 '1차 진원지'와 '2차 진원지'로 꼽힙니다.

    반면 보건당국의 방역 허점이 노출되면서 앞으론 '게릴라식 3차 유행'이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장소를 가리지 않는 산발적인 발생인 '게릴라'식 3차 유행인데요.

    잠복기가 안 끝났는데 격리를 해제하는 바람에 메르스 환자들이 하루에 두세 명씩 늘고 있습니다. 물론 극복하고 퇴원하는 환자들도 많아지고 있긴 합니다.

    특히 76번 환자에서 비롯된 '4차 감염자'만 8명이나 되며 전파 경로도 다양합니다.

    또 이들 8명으로부터 비롯된 새 전파 경로 역시 강동경희대병원의 투석실과 건국대병원의 6층 병동, 경기 구리시의 병원 두 곳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76번 환자와 접촉한 사람만도 500명.

    여기에 이 환자로부터 4차 감염된 사람들과 접촉한 투석환자 97명, 구리시 카이저재활병원 110명 등 '5차 감염' 우려 대상자도 기하급수로 늘고 있는 겁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진정세라며 종식 선언 시점을 검토하던 당국이 다시 초긴장 모드에 들어갔습니다. 오늘 오전의 메르스 현황 발표가 아주 중요합니다.

    ▶ 오늘 아침에 가장 주목한 뉴스는?

     

    = 예, 과거사와 새 시대입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어제 서울과 도쿄에서 거행된 한일 수교 50주년 기념식에 각각 참석해 한일 양국의 앙금을 해소하려는 연설을 했습니다.

    주요 골자는 과거사를 내려놓고 새 시대를 열자로 요약됩니다.

    박 대통령은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상생으로 내려놓자"며 "올해가 한일 신뢰 회복의 역사적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앞으로 50년을 위해 손잡고 새 시대를 열자"고 말했습니다.

    두 정상은 협력과 화해·신뢰·미래를 강조했는데 박 대통령은 일본은 가해자라는 등의 과거사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고 실타래 같은 현안이라고만 언급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과거사에 대해서는 '과' 자도 꺼내지 않고 한류 등 한일 간의 긍정적 성과만 강조했습니다.

    과거사의 전향적인 변화를 읽을 수 있는 내용은 없는 원론적인 메시지였습니다.

    미래를 향한 첫발은 뗐습니다. 그렇지만 한일관계가 지난 1998년 김대중-오부치의 '한일 공동선언'까지 가려면 넘어야 할 산이 상당히 많습니다.

    당시에 오부치 일본 총리는 일본의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반성을 했고, 김대중 대통령은 일본의 평화헌법과 전후 세계의 평화 기여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 어디로 가볼까요?

    임종룡 금융위원장 (윤창원 기자)

     

    = 예, 북한인권 사무소 개소식과 서민금융 대책입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감시하는 유엔의 현장 거점이 될 '유엔 북한인권사무소'가 오늘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에서 문을 엽니다.

    개소식에는 유엔의 인권 분야 수장인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공식 방한해 개소식을 주최하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참석합니다.

    사무소는 앞으로 북한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며 증거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북한 김정은 정권으로선 가시 같은 존재로 여기고 있습니다.

    북한은 당장 유엔의 북한인권사무소 서울 개소식을 이유로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에 불참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참석을 통해 막히고 꼬인 남북관계의 숨통을 조금이나 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으나 북한은 여지없이 응징하고 나왔습니다.

    우리 정부는 유엔의 일이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북한 김정은 정권에겐 유엔인권사무소가 서울에 문을 연다는 것 자체가 상당한 압박이 될 것입니다. 북한 인권 문제도 중요합니다.

    한편 오늘 정부의 서민금융지원대책이 발표됩니다. 대부업체들의 금리를 35%에서 29%로 내리는 것이 골자인데요. 한계 상황에 처한 서민들은 대부업체를 통해서도 빚을 내지 못하면 사채로 갈 것입니다. 악순환입니다.

    ▶ 다음 키워드는 어떤 것이죠?

     

    = 예, 28만 명입니다.

    28만 명을 대상으로 한 사학연금법이 개정될 수밖에 없는 처지입니다.

    사학연금은 공무원연금법을 상당 부분 준용하는 관계로 어떻게든 고쳐야 합니다.

    개정하지 않고 이대로 놔두면 사학연금을 받는 전직 교직원들만 유리해진다고 합니다.

    새누리당이 어제 최고위원회의에 김재춘 교육부 차관을 불러 사학연금법 개정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도 여당이 사학연금을 손보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입니다.

    사학연금 가입자 28만 명과 야당의 입장이 주목됩니다.

    여당은 그러나 가장 심각한 군인연금 문제에 대해서는 손대지 않겠다는 태도입니다. 보수 세력의 근간이기 때문이겠죠.

    ▶ 또 어떤 키워드가 눈길을 끕니까?

    - 예, 구멍가게입니다.

    청와대가 나라를 구멍가게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이 여당 의원에게서 나왔습니다.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인데요. 정 의원은 어제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황교안 국무총리를 상대로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우리나라를 대기업으로 치면 대기업의 계열사 사장들은 존재감이 없고 총수와 몇몇 총수 측근들이 운영한다"면서 "대기업을 구멍가게처럼 운영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정두언 의원은 "청와대가 각 부처의 인사를 주무르고 있다 보니 장관은 권한은 없고 책임있게 일을 하기 힘들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특히 "지금 같은 국정운영으로서는 제3, 제4의 세월호 사태마져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걱정했습니다.

    정권을 책임지고 있는 집권 세력은 정두언 의원의 고언을 고깝게 듣지 말고 진심어린 충고로 받아들였으면 합니다.

    앵커)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와는 다른 형태의 재난이 닥치지나 않을지 나라 걱정이 되는데요.

    예, 엄청합니다.

    ▶ 뉴스 인물은 누구인가요?

     

    = 예, 오바마 미 대통령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흑인을 지칭하는 금기어까지 사용하며 미국의 인종주의를 비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흑인의 금기어인 '깜둥이'(nigger-흑인을 가리키는 대단히 모욕적인 말)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미국은 인종주의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태어난 이후 인종에 대한 태도는 분명히 개선됐지만, 노예 제도의 유산은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고 여전히 우리 DNA를 통해 이어져 오고 있다"고 백인 우월주의자들을 직접 비판했습니다.

    우월주의에 빠진 청년의 흑인교회 총기 난사 사건을 직접 겨냥한 것입니다. 목사를 포함한 9명을 살해했습니다. 그런데 희생자 가족들은 일제히 범인을 용서한다고 밝혔습니다.

    ▶ 다음 뉴스는 무엇인가요?

    = 예, 국가 총부채 5천조 원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2013년 기준 국가 총부채는 4835조원이라고 밝혔는데 지난해부터 국가와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어 올해 말까지 5천조 원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가 총부채는 정부와 가계, 기업 부채를 포함한 것으로 국가 총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정부가 이번에 추경을 편성하면 국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결국은 국가부채가 되는 것입니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들어 가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IMF 외환위기가 기업부채 때문이라면 앞으로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은 1차 가계부채, 2차 요인은 중앙 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 부채가 될 것입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