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창 막는 보훈처, 국정조사 해야
- 김일성 찬양? 그럼 합창은 왜 허용
- 정진석 비대위 겸임? 절망적 느껴
- 정진석 비대위체제, 저항 부딪힐 것
- 혁신기구에 힘 안 주고 격하시킨 것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하태경(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이 끝난 지 거의 한 달 만에 비상대책위원회의 틀을 완성했습니다. 그 동안 전당대표 치러질 때까지 당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는 관리형 비대위냐, 아니면 당을 개혁하는 데 중점을 두는 혁신형 비대위냐 이것을 놓고 갑론을박이 뜨거웠는데요. 결국은 관리형 비대위로 가되 그 아래 혁신위원회라는 걸 따로 두는 일종의 투트랙 전략을 택했다는 설명입니다. 비대위원장 자리 놓고도 얘기가 많았는데요. 그냥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도 겸직하는 것으로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그러자 당 안팎에서는 쓴소리가 쏟아져나옵니다. 새누리당 혁신모임 하태경 의원 연결을 해 보죠. 하 의원님 안녕하세요.
◆ 하태경> 안녕하세요, 하태경입니다.
◇ 김현정> 새 원내대표단이 고심 끝에 내놓았다는 이 당 수습책 어떻게 보십니까?
◆ 하태경> 그 이야기 듣고 굉장히 절망감을 느꼈습니다. 우리 당이 과연 변화를 할 수 있는 당이냐. 사실 총선 끝나고 국민들은 새누리당의 어떤 파격적인 변화와 혁신 이런 걸 보고 싶어합니다. 실제로 그게 필요한 시점이고. 그런데 정진석 체제가 원유철 원내대표 당시에 있었던 시행착오를 그대로 반복하는 것 같아요. 그 당시 원유철 원내대표가 저항에 부딪친 것이 원유철 비대위로 가려고 했거든요.
◇ 김현정> 그랬었죠.
◆ 하태경> 지금하고 똑같습니다. 전당대회 관리하는 데 최고위원회가 없었기 때문에 원내대표가 비대위를 맡는 전당대회 관리형 비상대책위원회가 필요하다. 혁신위원회는 자문기구에 불과합니다. 비대위는 당헌당규에 나와 있는 최고의사 결정기구인 최고위원회입니다. 그러니까 혁신을 할지 혁신을 하지 말지를 결정하는 게 비상대책위원회입니다. 혁신위원회는 안을 내놓는 것이고. 그리고 혁신위에서 아무리 좋은 안이 나와도 비대위에서 통과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 같은.
◇ 김현정> 혁신위가 이렇게 아래에 있는 형태라면 아무리 혁신위에서 좋은 걸 만들어도 비대위에서 아니라고 하면 그냥 없어지게 될거다 이런 말씀이죠.
◆ 하태경> 그렇죠. 그러니까 혁신 의지가 떨어진다고 보는 거죠. 지금 비대위원으로 누가 구성될지도 모르고, 의총에서 또 통과돼야 됩니다. 때문에 혁신을 밀어붙일 그런 기구에 권한을 안 준 겁니다. 격하시킨 겁니다.
◇ 김현정> 격하시킨거다.
◆ 하태경> 그러니까 누가 보더라도 새누리당이 반성의 의지가 없다. 실제로 우리 새누리당이 총선 참패 하고 나서 책임지고 내가 백의종군이라도 하겠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지 않습니까?
◇ 김현정> 김무성 대표가 백의종군한 거 아닌가요?
◆ 하태경> 김무성 대표는 임기 끝났으니까, 말은 그렇게 했지만 임기가 다 끝났잖아요.
◇ 김현정> 사실상 백의종군 아니라고 보시고.
◆ 하태경> 그거는 진정성이 떨어지는 것이고. 그래서 실제로 정진석 비대위 체제가 통과되려면요, 이건 지금 내정이 된 것이고, 비대위원장에. 전국위원회 통과를 해야 됩니다.
◇ 김현정> 그렇죠.
◆ 하태경> 비대위원장은. 제 생각에는 아마 전국위원회에서 정진석 비대위 체제가 저항에 부딪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 김현정> 충분히 있다.
◆ 하태경> 순탄치 않을 것입니다.
◇ 김현정> 그렇게 보시는 거고. 지금 이게 하태경 의원만의 생각이 아니라 밑에서 부글부글 하는 생각들이 그렇다라는 말씀이신 거죠?
◆ 하태경> 그렇죠. 전당대회를 관리하는 데 비상대책이 왜 필요합니까? 비상대책은 위기니까 위기를 타개하라고 비상대책위가 필요한 거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전당대회 관리는 그냥 비대위원장 밑에 전당대회를 관리할 수 있는 실무단만 구성하면 되는 겁니다. 그걸 가지고 무슨 비상한 대책이라면 의사결정 할 필요가 없잖아요.
◇ 김현정> 그렇게 보세요. 결국은 크게 혁신할 마음이 없으니까 그냥 비대위를 관리형으로 이렇게 가는거다라는 의견이신데.
◆ 하태경> 그렇게 보일 수밖에 없다는 거예요.
◇ 김현정> 그런데 이게 옳다고 보시는 분들은 이런 말 하더라고요. 비대위라는 게 전당대회까지 달랑 두 달을 이끄는 조직인데, 시간상으로 볼 때나 또 그 비대위원장이 별 권한이 없는 직책이라는 걸로 볼 때나 비대위원장으로 어떤 명망가를 모셔오기는 좀 무리다. 그러다 보니까 정진석 원내대표가 위원장 겸하면서 전당대회까지만 좀 두 달을 좀 가보자, 이런 의도다라고 설명하던데요.
◆ 하태경> 한 달이면 충분합니다. 사실 새누리당에 지금 혁신해야 하는 안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게 계파청산이지 않습니까, 총선 평가고. 그래서 총선 평가를 공식화 하고 계파청산의 방법론만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게 뭐 두 달이면 다 합니다, 다 해.
◇ 김현정> 다 해요?
◆ 하태경> 그리고 또 한 가지는 비대위원장이 지금 최고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산하에 있는 자문기구 혁신위원장은 더더욱 영입하기 어렵습니다. 누가 하려고 하겠습니까? 실질적인 권한도 없는데.
◇ 김현정> 비대위원장으로 명망가를 모셔오기가 어렵다라고 치면 그 밑에 있는 혁신위원장은 지금 더 어려워진 상황이다.
◆ 하태경> 더 어려워진 거죠. 혁신위원 뽑기도 쉽지 않을 거예요. 저도 옛날에 보수혁신위원 해 봤거든요. 아무런 권한이 없었습니다, 실제로는. 당헌당규 상에 보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정진석 원내대표가 보장해 주겠다고 말은 할 수 있지만 그건 월권이에요. 본인이 보장해 줄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아니, 하태경 의원님, 그러면 이런 걸 다 알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누가 도대체 이런 비대위, 관리형 비대위를 추진했다고 보세요? 어떤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보시는 겁니까?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 (사진=자료사진)
◆ 하태경> 정진석 원내대표는 잘 모를 수가 있다고 보고요. 그리고 정진석 원내대표는 19대 때도 같이 안했지 않습니까? 그래서 지금 뿌리가 좀 약하고. 어쨌든 새누리당 내에 파격적인 혁신에 대한 절박감이 떨어지는. 그리고 혁신위, 비대위 차이를 초선의원들, 새로 들어오신 분들은 정확히 모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전부 다 설문을 돌렸지 않습니까?
◇ 김현정> 그렇습니다.
◆ 하태경> 그래서 아마 다수가. 그럴 때는 하잖아요, 이 과정, 역사적인 과정이나 당헌당규 내용들을 모른다면.
◇ 김현정> 그러면 혹시 친박계, 이른바 당의 주류인 친박계가 전당대회를 좀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해서 이런 모양으로 그냥 유지해 가는 것인가라는 의견들도 나오는 건가요, 그런 의심들도?
◆ 하태경> 그러니까 사실 혁신적인 비대위를 구성했을 때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사람들이 총선 참패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총선 참패의 책임이 있는 분들은 혁신적인 비대위를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죠. 그런 분들의 의사가 반영이 되고 있다라는 의심을 충분히 할 수 있는거죠.
◇ 김현정>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얼마 전에 지금 총선 치렀으면 아마 새누리당 120석도 못 건졌을 거다 이런 얘기하시던데.
◆ 하태경> 정권 재창출의 의지가 없는 겁니다. 당이 지금 심각하고. 지난번 당선자 총회 때도 발표하는 의원들의 압도적인 다수가 혁신형 비대위로 가자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런데도 원내지도부가 바로 수용하는 의사표현을 안 하더라고요. 굉장히 무기력함을 느꼈고 당의 자정능력이 지금 실종됐다, 사라졌다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 김현정>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 만나고 있습니다. 시간이 별로 없지만 제가 한 가지만 좀 화제를 바꿔서 여쭤야 될 것 같아요. 5.18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일이 이제 일주일 앞으로 바짝 다가왔는데 올해도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하 의원님은 어떤 입장이십니까?
◆ 하태경> 지금 가장 심각한 문제가 보훈처가 유언비어를 유포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무슨 말씀이세요?
◆ 하태경> 보훈처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임을 위한 행진곡'이 혹시 김일성 찬양곡 아니냐. 그 '임'이 김일성 아니냐. '임을 위한 행진곡'은 자유민주주의체제와 양립할 수 없는 노래가 아니냐 하는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주장에 대해서 정면 반박하고 부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게 다 근거없는 유언비어거든요.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런 유언비어를 보훈처가 직접 유포하고 있다는 것이고.
◇ 김현정> 직접 유포를 하고 있다고요, 직접 유포를?
◆ 하태경> 보훈처 발표 내용 중에 그렇게 해석될 만한 내용이 있습니다. 실제로 자유민주체제와 양립할 수 없는 노래라는 표현이 있고, '임을 위한 행진곡'에서 '임'의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고 지금 하고 있거든요.
◇ 김현정> 논란이 있다, 그렇게 나왔죠. 보훈처에서 그것 자체가.
◆ 하태경> 지금 논란이 있는 건 '임이 김일성이다, 아니다' 이런 논란이 실제로 있는 것이고, 그 논란은 그렇게밖에 해석될 수 없는 것이고요.
◇ 김현정> 그게 아니라고 정확하게 말하지 않는 것은 인정하는 것 아니냐.
◆ 하태경> 그걸 부정하지 않고 있지 않습니까? 그것 때문에 제창을 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까.
◇ 김현정> 그렇습니다.
◆ 하태경> 그런데 문제는 김일성 찬양곡으로 의심하면 합창도 하지 말아야죠. 그래서 보훈처가 왜 이런 인식을 갖게 됐는지에 대한 저는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20대 국회가 시작되면 보훈처의 '임을 위한 행진곡'에 대한 이런 인식에 대한 여야 국정조사를 제가 추진하려고 합니다.
◇ 김현정> 보훈처가 도대체 왜 이런 시중에 떠도는 말도 안 되는 소문에 대해서 정면 반박하지 않는가 이 부분에 대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
◆ 하태경> 그렇습니다.
◇ 김현정> 뭐가 있다고 의심하시는 거예요? 하 의원님 개인적으로는?
◆ 하태경> 보훈처 내부의 인식이 문제가 있습니다. 시중에 지금 그런 책들도 나와 있어요. '임'이 김일성이다. 이런 것은 '임을 위한 행진곡' 히스토리를 쭉 살펴보면 사실이 아니라는 게 금방 나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에서 부르면 '임'이 김일성이 된다라고 판단을 하면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북한에서 부르면 그 통일은 적화통일이 되는 거잖아요. 그럼 우리가 부르면 안 된다, 이런 식의 논리예요. 그러니까 이런 말도 안 되는 논리를 정부가 딱 잘라서 부정을 하고 반박을 해 주고 잘라 주어야 하는데 그걸 지금 수용하고 있거든요. 그런 논란이 의미가 있다. 왜 이런 인식을 가지게 되는지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건 청와대 발이라고 저는 생각하지 않고요. 보훈처 자체 내에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렇게 청와대에서 보고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그렇게 발표했잖아요.
◇ 김현정> 청와대 의지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던데 그렇게는 않보세요?
◆ 하태경> 보고를 잘못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봅니다.
◇ 김현정> 보고를 잘못했을 것이다. 그러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시는군요.
◆ 하태경>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 듣죠. 하 의원님 고맙습니다.
◆ 하태경> 감사합니다.
◇ 김현정>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김현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