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미군의 주피터 프로젝트 등 부산 전체를 아우르는 이슈가 시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가 주피터 프로젝트에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시민단체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최근 부산지역을 둘러싼 이슈는 단연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과 미군의 주피터 프로젝트 도입이다.
부산시는 동남권 신공항 가덕도 유치를 위해 시민사회단체와 연계한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신공항을 부산에 유치했을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물론 서병수 시장과 지역 정치권의 입지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군이 남구 8부두에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생화학적 연구과제 '주피터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입장 자체를 내놓지 않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매일같이 기자회견을 열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는 지역적 이슈에 눈을 감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애초 시민 안전을 우려해 주피터 프로젝트 불가를 외치던 시민단체는 최근들어 부산시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시민단체는 부산시가 정치적 논리로만 지역의 이슈를 대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생명과 실생활에 가까운 문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양미숙 사무처장은 "부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큰 그림의 사업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안전과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이슈에도 시가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주피터 프로젝트에 대한 부산시의 명확한 입장을 듣기 위해 서병수 시장과의 면담을 추진하는 등 압박 강도를 높인다는 방침이어서 부산시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