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지난 5월 19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모(33) 검사가 생활하던 자취방. 맥주캔과 담배 등을 볼 수 있다.

 

'금지옥엽'처럼 키운 아들이 세상을 떠난 지 6일 만에 어머니 이기남(57) 씨는 서울 남부지검에 있는 아들 사무실을 찾았다.

고향(부산)으로부터 300여km 떨어진 타지에서 하루하루를 아등바등 버티며 살았을 아들을 생각하니 이 씨는 눈물이 고였다.

유품을 정리하기 위해 사무실에 들어선 순간 이 씨는 오열했다. 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일어날 수 없었다.

아들 책상 위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컵라면 하나.

명색이 '대한민국 검사'라는 아들이 끼니조차 제대로 챙기지 못했을 것이란 생각에 이 씨는 괴로워했다.

"제가 가족들 건강을 유난스럽게 챙기는 편이에요. 가끔 부산에 내려와서 '엄마, 라면 한 개만 끓여 줘'하면 '라면은 많이 먹지 말아라'는 잔소리와 함께 항상 식초를 넣어서 라면을 끓여줬어요. 근데 우리 애가 이렇게 바빠서 밥도 못 먹고... 라면 하나 놓고... 얼마나 힘들었을지 상상하니 눈물이 계속 납니다."

이 씨는 컴퓨터 옆에 놓인 담배 두 갑에 다시 한 번 목놓아 울었다. 30년 넘게 아들의 흡연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등학생 때 주변 친구들이 담배를 피워도 쳐다보지도 않던 아이가 담배를 피운다는 게... '얼마나 힘들고 괴로웠으면 그랬을까' 싶습니다"

오열속에 탈진한 이 씨는 아들의 유품 한 번 제대로 정리해보지도 못하고 사무실을 떠났다. 이 씨를 모시고 간 친구들이 남아 유품을 정리했다.

◇ 퇴근 후 다시 사무실로…마지막 순간 무엇했나?

김 검사가 사무실 컴퓨터에서 마지막으로 작업한 파일과 그 시각.

 

김모(33) 검사는 자신의 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직전까지 업무에 시달렸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 검사 유족 측에 따르면, 그가 죽기 전날 퇴근한 시각은 오후 7시쯤. 그는 편의점에 들러 맥주 몇 캔을 사 들고 집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약 3시간이 지난 뒤인 오후 10시쯤 김 검사는 다시 사무실로 돌아왔다. 미처 끝내지 못한 업무를 마치기 위해서였다.

김 검사가 사용하던 컴퓨터에는 그가 마지막까지 업무에 시달렸다는 정황을 보여주는 흔적이 남아있었다.

가장 마지막에 열어본 파일은 '16년 5월 월간업무보고 회의자료'. 그는 다음날 있을 보고를 위해 진땀을 흘려야 했다.

상습적으로 폭언을 들었다는 A 부장 밑에서 김 검사가 얼마나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마지막으로 파일이 닫힌 시각은 다음날 오전 1시 34분으로 김 검사는 퇴근 후에 다시 사무실로 돌아와 최소 3시간 30여분 동안 작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김 검사는 녹초가 돼 집으로 돌아갔고, 얼마 후 자신의 방 안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김 검사는 스스로 목숨을 끊기 얼마 전까지 친구들에게 "매일매일 부장(검사)한테 욕먹으니 진짜 살이 쭉쭉 빠진다", "맨날 욕을 먹으니, 진짜 가끔 자살충동 든다" 등의 메시지를 보내며 과다한 업무량과 A 부장검사의 폭언에 대한 고통을 호소한 바 있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조세정의실현2022-02-27 18:42:09신고

    추천19비추천2

    정확한 인식 없이 피상적인 지식으로 임기 응변식으로 대응하려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윤구두의 머릿 속에는 지가 배신한 대통령과 정권에 대한 증오뿐이라 합리적 판단이 불가함. 러시아와 우크라의 군사력 차이와 남과 북의 그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이고 우리의 군사력이 세계 top10권인데 도대체 무슨 헛소릴 하는건지. 그리고 종전선언만으로 평화가 조성된다고 이 정부의 누가 그랬나? 다만 평화정착으로 가는 하나의 과정일 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