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청와대 제공)
"건국절 주장은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자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다."
12일 청와대 독립유공자 초청 오찬에 참석한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장(92)은 뉴라이트 등 우익진영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건국절 제정론을 이같이 반박했다. 김 전 회장은 1940년대 학병으로 일본군에 징집당했다 탈출한 뒤 광복군에 합류해 중국 장시성 전선에서 활약했다.
(사진=청와대 제공)
김 전 회장은 이날 오찬 행사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 8월15일 출범했다고 이날을 건국절로 하자는 일부의 주장이 있다"며 "이는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일 뿐 아니라,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고,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하이에서 탄생했음은 역사적으로도 엄연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상하이 임시정부 출범일이 대한민국 건국일이라는 얘기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돼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김 전 회장은 "왜 우리 스스로가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독립투쟁을 과소평가하고, 국난시 나라를 되찾고자 투쟁한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고 그랬다. 우리의 쓰라리고 아팠던 지난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과 내일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회장은 "광복군 창설일인 9월17일을 국군의 날로 하는 것이 합당하다"며 현행 10월1일인 국군의 날 변경, "다짐의 행사 없이 이 날을 무관심하게 지내고 있다"며 국치일(8월29일)의 기념일 제정 등 필요성을 개진했다.
(사진=청와대 제공)
그는 "이런 조그마한 기념일을 거론하는 것은, 호언장담이나 거대담론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주위에 있는 작은 것, 모순된 것부터 하나하나 시정해 실천에 옮겨야 한다는 차원에서 드리는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김 전 회장은 안중근 의사 기념관, 광복군 제2지대 주둔지 표지석,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등의 정비를 들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한 이후 전무한 일이었고 초유의 역사적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감사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서 건국절 관련 논의는 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회장과 같은 테이블에 앉은 박 대통령도 건국절 관련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행사 참석자들은 전했다.
대신 박 대통령은 김 전 회장 뒤 모두발언을 통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선열들을 생각하면 어떤 일이 있어도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안전을 지키는 일에 타협하거나 양보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사드' 논란의 정면돌파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