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새해 결심을 이루는 법…"'헛된 희망 증후군'을 피하라"



IT/과학

    새해 결심을 이루는 법…"'헛된 희망 증후군'을 피하라"

    • 2016-12-30 06:32

    美 심리학자 "현실적인 작은 목표 세우고 큰 기대 말라"

     

    많은 사람이 연말연시엔 금연이나 살빼기 등 자기 행동을 바꾸려는 '새해 결심'을 한다.

    그러나 새해 첫 주 안에 결심을 포기하는 사람이 4분의 1이나 되고 대부분 중도에 실패한다는 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들이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한 특정 행동을 없애기까지 평균 10회 정도 재차 결심과 다짐을 한다는 통계도 있다.

    새해 결심을 이루는데 비교적 성공적인 사람들도 평균 5~6회 정도는 실패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30일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대학 심리학자 피터 허먼 교수팀은 사람들이 자기 행동 변화에 실패하는 요인들을 여러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석하고 '헛된 희망 증후군'(false-hope syndrome)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심리협회(APA) 발행 학술지 '미국심리학자'에 발표한 논문[https://isites.harvard.edu/fs/docs/icb.topic1063339.files/falsehopesofselfchange copy.pdf]에서 연구팀은 이 증후군의 시작은 '지나치게 야심에 차고 비현실적인 결심이나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행동이 실제보다 더 빨리, 더 큰 규모로, 더 쉽게 변할 수 있다고 여긴다. 이에 따라 작은 규모로 보잘것없어 보이는 변화를 이루려 하기보다는 전면적 변신을 빠르고 쉽게 성취하려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성공하지 못한다. 비현실적 목표는 역효과를 일으키고 실패하게 돼 있다.

    그런데 일단 결심 지키기에 실패한 이후 흔히 사람들은 실패한 원인을 주로 방법론이나 내외부 상황 탓으로 돌린다. 조금만 계획과 방법을 조정하면 성공하리라 판단한다. 이로 인해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 목표와 기대치가 너무 큰 탓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게 된다. 결국, 또다시 결심을 세우고 시도하지만 실패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고 결심을 이룰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연구팀은 "현실적이며 작은 결심을 하고, 큰 변신보다는 작지만, 점진적인 변화를 기대하라"고 권고한다.

    예컨대 가장 흔한 새해 결심 중 하나인 살빼기를 시작할 때 1주에 500g씩 줄인다는 식의 비현실적 목표를 세우지 말라는 것이다. 한 달에 500g씩, 1년에 5~6kg을 뺀다는 목표가 더 현실적이며 성공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새해 결심에서 흔히 드러나는 또 다른 문제점은 목표를 이루면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체중을 꽤 많이 줄이면 내 모습이 사람들에게 멋지게 보일 것이라거나 나아가 사회적 성공도 더 가까워질 것이라는 등의 과도한 기대를 품지 않는 게 좋다"고 지적했다.

    약간 살을 빼는 데 성공하면 몇 가지 유익한 점이 있겠지만 "내 삶을 마법처럼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면 변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이다.

    허먼 교수는 "우리는 작은 목표들에 만족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면서 "보잘것없어 보이는 작은 목표들이 실제 성취 가능성이 더 크고 이런 결심을 지키는 데 성공할 때 뒤따르는 좋은 점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