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朴대통령과 호흡 맞추는 새누리…쇄신 외치며 수구행보



국회/정당

    朴대통령과 호흡 맞추는 새누리…쇄신 외치며 수구행보

    탄핵반대 여론전+특검연장 방해…朴대통령 그림자 행보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9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새누리당이 탄핵 기각을 노리는 박근혜 대통령과 다시 호흡을 맞추는 모양새다.

    박 대통령과 선을 긋고 반성과 쇄신을 외치며 몸을 낮추던 때와는 정반대로 달라진 분위기다.

    박 대통령 측은 최근 탄핵심판 지연을 위한 움직임과 신뢰성을 문제 삼은 특검 때리기를 본격화했다. 헌법재판소에 추가 증인을 무더기로 신청하는가 하면, 특검에는 예정된 대면조사를 거부한다고 통보했다.

    그러자 새누리당은 '탄핵 반대' 여론전을 펼치는 한편, 여야 특검 기한 연장 합의를 막아서면서 적극적으로 박 대통령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 새누리, 野 ‘탄핵위기론’ 정치공세 규정…본격 여론전

    3월13일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퇴임 이후 헌재는 7인 체제가 된다. 이 때 탄핵 심판이 이뤄질 경우 2명만 반대하면 기각, 1명이라도 신병에 문제가 생기면 정족수 부족으로 심판 자체가 어렵게 된다.

    야권은 박 대통령 측이 이를 노리고 지연작전을 시작했다고 판단, 3월13일 이전 헌재가 탄핵 인용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야권의 목소리를 '탄핵위기론'이라는 이름의 정치공세로 규정, 헌재 흔들기 시도라고 비판하면서 쟁점화하고 있다. 사실상 박 대통령 측의 행보에 힘을 실어준 셈이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탄핵 심판마저 특정세력의 강압과 여론에 흔들린다면 헌정질서가 설 자리가 없다"고 밝혔다.

    또 한편에서는 친박계가 나서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며 '탄핵 반대 여론전'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특히 핵심 친박으로 거론되는 새누리당 윤상현·김진태 의원은 박 대통령의 변호인과 9일 국회에서 함께 탄핵 반대론을 펼치며 호흡 맞추기를 노골화했다.

    '태극기집회'로 상징되는 탄핵반대 여론을 촛불민심과 등치시키면서 보수층 결집을 이끌고 탄핵 심판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박 대통령 측 변호인단 소속 손범규 변호사는 이날 윤 의원이 주최한 '태극기 토론회'에 참석해 "탄핵 기각을 확신한다"며 "비이성적인 마녀재판이자 여론재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같은 자리에서 "촛불은 이미 태극기 바람에 꺼졌다"고 밝히며 손 변호사와 함께 친박집회 참석자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이끌었다.

    여권 관계자는 "탄핵 반대 여론이 부각될 경우, 헌법 재판관들도 사람인지라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 당청, 황교안 우산 속으로 박 대통령 끌어들이나

    새누리당이 박 대통령의 2중대로 회귀했다는 비판은 국회의 특검 수사기간 연장 합의를 막아서면서 더욱 거세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특검의 신뢰성을 문제 삼으며 대면조사를 거부한 9일 새누리당은 특검 수사 기간 연장을 위한 법안 처리에 반발, 여야 4당의 합의는 불발됐다.

    이달 말 탄핵 심판이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황에서 특검 수사가 예정대로 오는 28일 종료되면, 박영수 특검팀은 현직인 박 대통령을 기소할 수 없다. 이후 탄핵 인용이 되더라도 기소 여부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하의 검찰이 판단하게 된다.

    결국 새누리당의 행보가 박 대통령 감싸기로 비춰지면서 범보수진영에 선 바른정당까지 비판에 가세했다.

    바른정당 장제원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대한민국의 적폐를 청산하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는 특검에 힘을 실어주지는 못할망정 오히려 비판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특검이) 특정 피의자들의 사생활에 대한 과도한 침해와 피의사실 공표 등으로 많은 시간을 허비해놓고 새삼스레 시간을 연장하려 한다"며 사실상 박 대통령 변호인단과 같은 목소리를 내놨다.

    이 같은 움직임을 두고 일각에서는 탄핵을 피하려는 박 대통령과 '황교안 대선후보'를 꿈꾸는 새누리당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탄핵이 기각되면 새누리당으로서는 12월 대선까지 보수진영 재정비의 시간을 확보하면서 '실패한 정부의 2인자'라는 꼬리표를 뗀 황 대행을 무난하게 후보로 내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탄핵 찬성론자임을 스스로 밝혔던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말을 아끼고 있다. 비대위 핵심 관계자는 반성을 외치던 '인명진표 비대위'의 기류 변화에 대해 "황 대행의 지지율이 10%대를 돌파하는 것을 보고 새누리당도 서서히 지지를 받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