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전북도민들에게 있어 '새만금' 하면 두 개의 단어가 떠오른다. 바로 '전라북도 최대 현안'이라는 것과 '지지부진한 사업 추진'.
이런 가운데 조속한 청사 이전과 함께 사업을 강도높게 추진하겠다던 새만금개발청이 이전 시점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진성성을 의심받고 있다.
지난 2013년 개청 이후 세종시 임대건물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새만금개발청은 터덕거리는 새만금 사업을 강도 높게 추진하라는 취지와 함께 새만금 현장으로의 이전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새만금개발청은 지난해 6월 '청사 이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1년 안에 이전지역을 결정하겠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지난 3월 24일 군산과 김제, 부안지역을 후보지로 놓고 추진위원회가 현장 실사를 벌이기로 했다.
그러나 개발청은 23일 돌연 현장실사 계획 연기를 통보했고, 그 이유에 대해서는 "대선 이후 청사 이전 추진이 바람직하다는 내부 의견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6일 전북도청을 방문한 새만금개발청 김형렬 차장은 "대선 이후 정부 조직 개편이 이뤄지기 때문에 청사 이전은 그 이후가 적합하다고 보고 있으며, 대선 이후 현장 실사 등을 통해 이전 시기와 장소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전라북도는 한시가 급한 새만금 사업을 생각한다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전라북도 오정호 새만금사업추진지원단장은 "향후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도 없이 일방적으로 청사 이전 논의를 중단해버리면 어떻게 하느냐?"며 "답답할 따름"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실무 관계자는 "실제 청사 이전 계획이 발표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이전까지는 최소 1년 정도가 소요되는데 이처럼 이전 계획부터 늘어진다면 몇 년이 걸릴지 어떻게 알겠느냐?"고 말했다.
새만금개발청의 대선 이후 청사 이전 진행 방침에 대해 일각에서는 현 이병국 개발청장이 청사 이전에 따른 직원들의 반발을 염두에 두고서 "자기 손에 피를 묻히지 않겠다는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2016년말까지 전체 사업의 45% 진척률을 보여야 했지만, 역대 정부의 무관심 속에 27.4%에 그치는, 턱없이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률을 보이고 있는 새만금 사업.
여기에는 전북도민들로부터 '새만금을 내 일같이 챙기겠다는 주인의식이 결여됐다'는 평가를 받아오고 있는 터여서 새만금개발청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