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사진=자료사진)
제19대 대선일이 다음 달 9일로 결정되면서 이 시기에 현장체험학습(수학여행)을 가려던 일선 학교가 일정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일부 학교는 일정을 변경했지만, 대다수 학교가 예정대로 일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라 교육청은 사전투표 독려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A 고등학교는 다음 달 교무일정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이미 연초에 계획했던 수학여행 기간에 제19대 대선이 치러지기 때문이다.
A 고교는 학내 논의과정을 거친 끝에 각종 예약 문제 등을 이유로 일정을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학생들을 인솔해야 할 교사와 동행인력 등 15명에게 사전 선거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처하기로 했다.
학교 관계자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해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예정대로 수학여행을 추진하자는 의견이 우세해 이같이 결정했다"며 "교사를 비롯해 이날 동원되는 15명은 5월 4~5일에 진행되는 사전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사하구에 있는 B 고교는 대선일을 피해 수학여행 일정을 하루 연기했다. 임시 공휴일인 대선에 수학여행을 강행하는 게 다소 부담스럽다는 판단에서였다.
학교 측은 교무 일정을 조율할 당시부터 조기 대선 등 수학여행 일정에 변수가 많다고 판단해 이에 대비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B 고교 관계자는 "국가 지정 임시공휴일에 일정을 강행하는 게 다소 부담스럽다고 판단했다"며 "이미 지난해 말부터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교무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여행 업체 선정 등을 유보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부산지역에서는 모두 16개 초·중·고교의 수학여행 일정이 대선
날짜와 겹쳤다.
이 가운데 2개 학교는 대선일을 피해 일정을 바꿨고, 10곳은 예정대로 일정을 진행하기로 했다. 나머지 4곳은 여전히 추진 여부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교육청은 대선이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데다 수업을 진행할 수 없는 임시공휴일이기 때문에 가급적 수학여행 일정을 변경할 것을 일선 학교에 권유했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이와 함께 사전 투표를 활용하는 등 선거 참여에 차질이 없도록 점검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수학여행 일정이 대선과 겹치는 학교에 일정 조정을 권고하는 공문을 보냈지만, 일정 변경을 강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된다"며 "수학여행에 동원되는 교사 등이 사전 선거일을 이용해 투표할 수 있도록 계속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