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500년 전 금동신발 내부서 파리 번데기 껍질 발견 … 그 의미는?



문화재/정책

    1500년 전 금동신발 내부서 파리 번데기 껍질 발견 … 그 의미는?

    금동신발 안에서 뼛조각과 함께 발견된 파리 번데기 껍질. (사진=문화재청 제공)

     

    파리 번데기 껍질을 현미경으로 본 모습. (사진=문화재청 제공)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내부에서 국내 최초로 파리 번데기 껍질이 발견됐다.

    17일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정촌고분 1호 돌방(石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내부의 흙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무덤 주인의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파리 번데기 껍질은 함께 10여 개체가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파리 번데기 껍질은 북유럽 바이킹 무덤에 매장된 시신의 옷이나, 일본 하자이케고분의 인골에 부착되어 발견되는 등 국외에서는 몇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파리 변태 과정.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에 연구소는 시체에 있는 곤충의 생활상(알→구더기→번데기→성충)을 이용하여 사망 후 시간 경과 등을 밝혀내는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통해 1,500년 전에 이른바 ‘빈(殯)’이라는 장례 절차의 존재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빈'은 시신을 관에 넣어 장사 지내기까지 일정 기간 임시로 안치하는 절차이다.

    나주 정촌고분 일대의 파리 채집 및 파리 유충의 목관 내 이동 실험. (사진=문화재청 제공)

     

    연구소 측은 "정촌고분 1호 돌방과 같은 조건(빛 차단, 평균 온도 16℃, 습도 90%)에서 파리의 알, 구더기, 번데기 중 어떤 상태일 때 성충이 되는지를 실험한 결과, 번데기 상태일 때만 성충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통상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 6.5일이 걸리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정촌고분 1호 돌방의 주인공은 무덤 밖에서 일정기간 장례 절차를 거친 후에 무덤 안으로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연구소는 사망 시점, 1,500년 전과 현재의 기후변화 여부 등도 함께 분석했다.

    연구소 측은 "파리 번데기 껍질은 ‘검정뺨금파리(Chrysomyia megacephala)’의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현재 정촌고분 주변에서도 서식하고 있으므로 기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 활동기간은 5~11월(9월경에 가장 활발히 번식)로 정촌고분 1호 돌방의 주인공도 이 기간에 사망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500년 전 파리 번데기 껍질의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통해 삼국시대 장례 문화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올해 분석 예정인 1호 돌방 출토 고인골. (사진=문화재청 제공)

     

    올해는 법의학 전문가와의 적극적인 협업으로 파리 번데기 껍질과 함께 출토된 고인골의 신체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무덤 주인공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신체 크기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고대 영산강유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떠한 모습이었고, 장례문화는 어땠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연구가 삼국시대 영산강유역의 장례문화를 밝힐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학제간 연구교류를 통해 삼국시대 호남지역의 생생한 문화상을 복원해 나갈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촌고분은 한 변 길이 30m, 높이 9m인 5세기 후반대 마한 수장급의 방형 무덤으이다. 무덤 내에서는 돌방(石室) 3기, 돌널(石槨) 4기, 독널(甕棺) 6기 등 총 14기의 매장시설이 확인됐다.{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