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단체들이 20일 상경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자신의 회고록에서 망발을 일삼은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항의 시위에 나섰다. (사진=5.18 기념재단 제공)
5월 단체들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자신의 회고록에서 망발을 일삼은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항의 시위에 나섰다.
◇ 5월 단체, 5·18 망발 내용 담은 전 前 대통령 규탄 및 회고록 폐기 촉구
5월 3단체(5·18 민주유공자 유족회,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회, 5·18 구속 부상자회)와 5·18 기념재단 관계자 30여 명은 20일 버스 한 대로 상경해 오후 1시 30분쯤 전 전 대통령의 연희동 자택 앞에서 규탄 시위를 벌였다.
5월 단체는 성명서에서 "12·12 군사반란의 주동자이자 5월 내란 학살의 주범인 전 씨가 회고록을 통해 치졸한 변명 일색의 망발을 늘어놓으며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걷어차 버렸다"고 비난했다.
5월 단체는 특히 전 씨는 5월 학살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며 오히려 자신이 5·18 민주화운동의 상처를 치유하고 달래기 위한 씻김 제물이라며 국민을 우롱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5월 단체는 20년 전인 지난 1997년 4월 17일 대법원은 전 씨에 대해 12·12 군사반란과 5·18 학살에 대해 반란 수괴, 내란목적 살인으로 무기징역을 선고해 전 씨는 자신의 죄악에 대해 평생 용서와 잘못을 구해야 하는데도 회고록을 통해 역사에 대한 패악질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5월 단체는 회고록이 아닌 참회록을 통해 5월 희생자와 광주 시민에게 용서를 구해야 할 전 씨가 자신의 죄가 차고도 넘침에도 죄를 뉘우치지 않는다면 전 씨 일당이 비겁한 언어로 혹세무민하지 못하도록 응징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5월 단체는 이에 따라 전 씨는 회고록을 즉각 폐기하고 역사와 광주시민 앞에 즉각 사죄할 것을 촉구했다.
5·18기념재단과 5·18 3단체(민주유공자유족회·민주화운동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소속 유가족들이 20일 오후 서울 연희동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전두환 회고록 규탄 항의 도중 회고록 폐기를 주장하며 오열하고 있다. 전 전 대통령은 최근 발간한 회고록에 "나는 광주사태 치유 위한 씻김굿의 제물"이다거나 "발포 명령은 없었다" 심지어 5·18 당시 165명이 숨지고 81명이 행방불명됐는데도 "당시 광주에서 국군의 살상행위 및 양민학살은 없었다"고 표현했다. (사진=황진환 기자)
◇ 5월 단체, 새 정부에 미완의 5·18 진상 규명 촉구5월 단체는 특히, 전 씨의 역사에 대한 몰인식과 몰염치는 5·18에 대한 미완의 진상규명이 여전히 진행형이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새 정부와 협력해 최초 발포 명령자 및 헬기 기관총 사격, 행방불명자 암매장 의혹 등 정부 차원의 5·18 진상규명 작업을 진행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5월 단체는 이어 서울지법 앞으로 이동해 기자회견을 열고 5·18에 관한 왜곡과 망언으로 유족과 광주 시민에게 다시 한번 상처를 준 남재준 대선 후보의 사퇴를 촉구했다.
5월 단체에 따르면 남 후보는 지난 4월 17일 “5·18 당시 대한민국 사법부가 판결을 내린 일부 사상범까지 수감된 교도소를 총을 들고 습격하는 것이 과연 민주화를 위한 것이었느냐”고 말해 80년 5·18 당시 무고한 광주시민이 계엄군에게 무차별 사격을 당해 죽거나 끌려가 고문을 당했던 사건을 마치 광주 교도소 습격사건으로 왜곡하는 망발을 자행했다.
5·18기념재단과 5·18 3단체(민주유공자유족회·민주화운동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소속 유가족들이 20일 오후 서울 연희동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전두환 회고록 규탄 항의시위를 갖고 있다. 전 전 대통령은 최근 발간한 회고록에 "나는 광주사태 치유 위한 씻김굿의 제물"이다거나 "발포 명령은 없었다" 심지어 5·18 당시 165명이 숨지고 81명이 행방불명됐는데도 "당시 광주에서 국군의 살상행위 및 양민학살은 없었다"고 표현했다. (사진=황진환 기자)
◇ 5월 단체, 시민군이 교도소 습격했다며 진실 왜곡한 남재준 후보 사퇴 촉구남 후보가 언급한 '광주 교도소 습격 사건'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3 공수여단 병력에 의한 교도소 부근의 발포가 적법하고 정당한 것이라는 주장의 근거로 인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사건은 공수부대의 민간인 무차별 학살을 덮으려는 공수부대 대대장의 날조된 증언에 불과하다고 5월 단체는 주장했다.
1980년 당시 광주교도소장을 역임한 한도희 씨는 "시민군에 의한 교도소 습격은 없었다"고 이미 언론에 증언했다.
실제로 재판과정에서 교도소를 습격했다고 해서 기소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고 5차례의 교도소 공격으로 2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한 계엄사령부의 발표와 관련해 확인된 사망자는 암매장 시신을 포함해 11명에 불과하다.
5월 단체는 나머지 시신 17구는 어디로 사라졌는지 날조된 '광주 교도소'사건을 비롯하여 5·18 진실규명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고 밝혔다.
국방부. (사진=자료사진)
◇ 재판 및 국방부 과거사 진상조사 위 보고서, 광주 교도소 습격 "조작"전두환·노태우 재판과정에서도 검찰은 1997년 1월 16일 자의 상고 이유서를 통해 당시 무장 시위대는 광주 교도소를 직접 습격한 사실이 없으며, 3 공수여단 병력이 광주 시위를 진압하기 위한 조치일 뿐이라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 바 있다.
국방부 과거사 진상 규명 위원회도 지난 2007년 보고서를 통해 "전남합동수사단에서 작성한 광주 교도소 습격기도 사건은 합수단에서 근무했던 505 보안대 대공과 수사관 등 관계자 및 관계서류를 조사한 결과 5·18을 불순분자의 소행으로 몰려는 의도로 조작됐음이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당시 3 공수여단 제11대대장 임수원의 신빙성 없는 증언만을 근거로 시민에 대한 총격을 '정당행위'로 판단한 원심을 그대로 인용하여 확정했다.
5월 단체는 사실이 이런데도 남 후보의 이번 발언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임은 물론 당시 억울한 피해자들에 대한 중대한 혐오로 대통령 후보의 자질은커녕 상식 있는 시민의 자격조차 의심스럽게 한다며 남 씨의 대선후보 사퇴와 함께 선거를 악용한 5·18 왜곡을 즉각 중지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