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첫 주택 마련에 걸리는 기간이 6.7년으로 소폭 단축됐지만, 주택구입가격은 연소득의 5.6배로 2년전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차가구 가운데 전세는 2년새 5.5%p 줄어든 반면, 월세는 5.5%p 늘어 60.5%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가 25일 발표한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애 첫 주택 마련에 소요되는 기간은 6.7년으로 지난 2014년의 6.9년에 비해 다소 짧아졌다.
반면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의 배수(PIR)는 전국 중위수 기준 5.6배로, 2014년의 4.7배에 비해 늘어났다. 수도권은 6.7배로 광역시 평균 5.3배나 도지역 4배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같은 기간 자가점유율은 53.6%에서 56.8%로, 임차가구 가운데 월세의 비중은 55.0%에서 60.5%로 증가했다. 반면 전세 비중은 45.0%에서 39.5%로 줄어들었다.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20.3%에서 18.1%로 소폭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17.9%였고 광역시는 15.4%, 도지역은 14.2%였다.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은 47.5%에서 46.2%로 줄어든 반면, 중소득층은 52.2%에서 59.4%, 고소득층은 69.5%에서 73.6%로 증가했다.
자가보유율은 58.0%에서 59.9%로 증가했지만, 저소득층은 50.0%에서 48.5%로 외려 낮아졌다.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은 33.5㎡에서 33.2㎡로 좁아졌고,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가구도 99만 가구에서 103만 가구로 늘어났다.
자가 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11.2년에서 10.6년으로 감소한 반면, 임차가구는 3.5년에서 3.6년으로 소폭 증가했다. 최근 2년간 이사를 한 가구의 비율도 36.6%에서 36.9%로 다소 늘어났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7~9월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자 가운데 82.0%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했고, 66.5%는 "임대료나 대출금 상환이 부담된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집 마련 인식이 2년전의 79.1%보다 높아졌지만 가구주 연령이 낮을수록 이런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내년부터 표본을 6만 가구로 확대하고, 조사 주기도 지금의 격년에서 매년으로 바꿀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