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대선 앞두고 포항·경주 주요 사업 '좌초' 우려

문재인·안철수 후보, 지역 주요 사업 공약 제시 '외면'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사진=경주시 제공)

 


대선을 앞두고 포항과 경주지역 주요 사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유력 후보들은 지역 주요 사업과 공약에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어 사업 좌초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제 19대 대선이 2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후보들은 잇따라 대형 공약을 내놓고 있다.

특히 각 지역 표심을 공략하기 위해 지역별 공약 마련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경주지역의 최대 현안인 '신라왕경 8대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은 후보들이 별다른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신라왕경 8대 핵심유적 복원정비'는 2025년까지 신라왕궁인 월성을 비롯해 황룡사, 동궁과 월지, 월정교 복원, 쪽샘지구와 신라방리제, 첨성대 주변 발굴 정비 등 8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문화재청과 경북도·경주시가 9천450억원(국비 6천615억, 지방비 2천835억)의 예산을 들여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사업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시작됐고, 지난 정권 최대 국정과제 중 하나였던 '문화융성'과 관련되면서 후보들이 거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신라왕경 복원사업 특별법' 제정마저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차기 정부에서는 관련 예산이 대폭 줄어들어 사업 일정이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는 이유다.

경주시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각 후보들에게 신라왕경 사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열심히 알리고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특별법 제정을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하는 등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도 위기를 맞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기업의 후원을 받아 지역 전략산업 분야의 창업·성장·수출을 지원하는 '박근혜표'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경북을 비롯해 17개 시·도에 18곳이 설치됐다.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내 최초의 민간주도형 센터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이 사업에 최순실과 차은택 등 비선실세가 깊숙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차기 정부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사업이 수정되거나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포항지역 최대 숙원사업 중 하나인 영일만대교 건설은 시작도 못한 채 위기를 맞고 있다.

포항시 남구 오천읍과 북구 흥해읍을 잇는 길이 9km의 해상교량을 건설하는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은 지역 발전은 물론, 랜드마크로의 역할까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홍준표, 유승민 후보만이 사업 조기 착공을 약속했을 뿐, 각종 여론조사에서 앞서가고 있는 문재인, 안철수 후보는 별다른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는 포스코가 그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했던 벤처기업과 신산업 육성에 힘을 쏟고 있어 다른 지역의 혁신센터와는 내용이 많이 다르다"며 "유력 후보들이 모두 일자리 창출과 4차 산업혁명 대비에 힘을 쏟고 있는 만큼 센터의 주요 기능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차기 정권의 정책 기조에 따라 사업의 명칭과 내용은 바뀔 수도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면서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신산업 육성 기관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