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文대통령 "한-러 철도망 연결되는 시대 위해 노력"

 

문재인 대통령과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2일 통화를 하고 한-러 관계 발전 방안을 비롯해 북한 핵문제 해결 방안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8시부터 약 20분 동안 취임 후 첫 전화통화를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러시아에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런 제안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특사단을 직접 접견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한반도와 국경을 맞댄 이웃나라 러시아는 유라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라고 생각한다"며 양국 관계의 내실 있는 발전을 위해 ▲한-러 간 전략적 소통 강화 ▲신성장 분야에서 협력 강화 ▲극동지역 개발협력 확대 등 3가지 중점 과제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더 이상 핵 도발을 멈추고 비핵화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러시아 측의 건설적인 역할을 기대한다"며 "본인도 남북대화와 6자회담의 조기 재개를 모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전략적 소통 강화의 전제는 북한 핵문제 해결이라는 것이 달려있다"며 "그래서 북한 핵도발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의 도움이 필요하며 러시아 도움을 필요로 하기 위해 대통께서 한국과 러시아 간 전략적 대화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씀드린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북극항로 공동개척과 에너지 협력 등 신성장 분야에서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제안했다.
"
문 대통령은 또 "양국 간 극동지역 개발협력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며 "시베리아 천연가스관이 한국까지 내려오고, 한국의 철도망이 시베리아 철도망과 연결되는 시대가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하며, 그를 위해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오늘 거론된 모든 분야에서 계속 협력해 나갈 준비가 돼 있다"며 특히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가 건설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상호 방문을 초청했고, 7월 초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의 만남도 기대한다고도 했다.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를 끝으로 문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순으로 주변 4강 정상과의 전화통화 외교를 마무리했고, 준비가 끝나는 대로 4개 국에 조속히 특사를 파견할 계획이다.

윤 수석은 "지금 한반도 문제, 특히 북핵 문제가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다가와 있는 상황이고 이로 인해 국민들이 많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당선 될 경우 미국과 중국, 북한, 일본, 러리사 등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나라들과 즉각적인 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는 말을 지속적으로 해 왔는데 그런 것(대통령의 생각이 담긴 행동)의 일환"이라고 주변 4개국 정상간 전화통화의 의미를 설명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