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새 정부 경제위험 요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산업경쟁력 약화"

기업/산업

    새 정부 경제위험 요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산업경쟁력 약화"

    한경연, 경제전문가 설문조사…"차세대 성장잠재력 확충, 기업환경개선·투자활성화 해야"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새 정부가 직면한 경제 위험 요인으로 대외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 강화', 대내적으로는 '산업경쟁력 약화'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경제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설문조사한 결과, 경제전문가들은 새 정부가 직면할 한국 경제의 가장 심각한 대외적 위험요인으로 '글로벌 무역주의 강화'(46.9%)를 꼽았다.

    다음으로 '북핵 문제 등 북한 리스크 증대'(21.9%), '중국 내 반한감정 고조'(17.2%), '미·중·일 환율갈등'(9.4%),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4.7%) 등의 순이었다.

    또 새 정부가 직면할 한국 경제의 가장 심각한 대내적 위험요인으로 경제전문가 10명 중 4명은 '구조조정 지연, 핵심기술 역량 미흡 등 산업경쟁력 약화'(40.6%)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주력산업 부문에서 중국기업의 기술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신사업, 핵심기술 역량 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경쟁력 개발이 시급하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어 대내 위험요인으로 '고령화·저출산에 의한 인구구조 변화'(17.2%), '실업률 증가, 가계부채 급증 등 소비여력 감소'(15.6%), '규제완화 등 경제시스템 개혁지연'(14.1%), '반 기업정서 증대에 따른 기업가정신 약화'(10.9%), '정부부채 증가 및 재정건전성 약화'(1.6%)순이었다.

    경제전문가들은 저성장 국면 장기화를 탈출하기 위해 새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의 방향으로 '차세대 성장잠재력 확충'(43.5%)과 '기업환경 개선 및 투자활성화'(29.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 한국 경제 재도약을 위해 새 정부가 가장 먼저 활용해야 할 정책 수단으로 '투자활성화를 위한 전폭적인 규제개혁'(36.5%),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업의 선제적 사업재편 지원'(33.3%), '핵심 유망산업에 대한 R&D세제 지원'(19.1%) 등이 필요한 것으로 답했다.

    (사진=자료사진)

     

    경제전문가 10명 중 6명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다소 불황'(65.6%)이 될 것이라고 예상해 최근 경제성장률 전망이 상향조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제를 불황으로 예상하는 응답자 대상으로 이유를 물은 결과, '국내 투자환경의 미비로 기업투자 감소 및 소비부진의 악순환 지속'(41.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저성장 탈출을 위한 정부의 구조적인 대응책 미흡'(24.4%), '세계경제 회복의 불확실성 증가'(14.6%) 순이었다.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묻는 질문에 경제전문가 10명 중 8명은 올해 역시 2%대 초중반의 저성장에 머물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이상의 경제성장을 전망하는 전문가는 한 명도 없어 우리나라 경제가 사실상 2%대의 저성장 추세로 고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2011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가 2~3%대의 성장률에 머문 이유는 '세계 저성장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34.4%), '기업의 본원 경쟁력 약화'(26.6%), '가계부채 증가 및 민간소비 부진'(25.0%)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의 추세적인 경제회복이 내후년인 2019년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회복 시기에 대한 물은 결과, '2017년 하반기'(6.5%), '2018년'(19.3%)을 선택한 응답자는 26%에 그친 반면 '2019년'(32.3%), '2020년'(9.7%), '2021년 이후'(32.3%)을 꼽은 응답자는 총 7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한경연 유환익 정책본부장은 "최근 수출이 6개월째 증가세를 보여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 낙관하긴 이르다"며, "향후 한국 경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큰 만큼, 새 정부의 최우선 경제정책 방향은 기업들이 과감하게 신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둬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14일~21일까지 고준형 포스코경영연구원과 김경수 성균관대 교수 등 경제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