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4차 산업은 어떻게 서비스 되나…플랫폼 생태계 전쟁



대전

    4차 산업은 어떻게 서비스 되나…플랫폼 생태계 전쟁

    제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누구도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급격한 사회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생각에는 대체로 동의한다. 낯선 개념과 용어, 여기에 당장이라도 4차 산업혁명이 현실이 될 것 같은 일부 호들갑스런 반응들에 당황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는 별도로 4차 산업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기 위해서는 경제성부터 윤리와 신뢰, 사회적 합의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사실. 4차 산업이 무엇인지,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아이들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CBS가 차분하고 쉽게 짚어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4차 산업이란]
    ① 4차 산업 어렵다고?…핵심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② 4차 산업은 어떻게 서비스 되나…플랫폼 생태계 전쟁

    [기대와 두려움 그리고 선결조건]
    ③ 상상은 어떻게 장밋빛 현실이 될까
    ④ 자율주행의 딜레마…AI, 믿을 수 있을까
    ⑤ 로봇세? 자본세?…사회적 합의 없이 혁명도 없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⑥ 일자리 대체? 보완?…사람이 답이다
    ⑦ 저출산 고령화와 4차 산업…어떤 직업 뜰까
    ⑧ 코딩과 메이커 교육 그리고 협업하는 괴짜


    4차 산업의 상업적 측면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기술 발전으로 구성된 플랫폼 뒤의 생태계다.

    ◇ 플랫폼이란?

    물류회사 아마존이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Alexa)’를 개발한 이유는 소비자들의 손쉬운 주문을 위해서다.

    아마존은 알렉사 이전에는 버튼을 눌러 제품을 주문하는 ‘대시버튼(Dash Button)’을 활용했다. 세탁기에 붙어있는 대시버튼을 눌러 세제를 주문했고, 아기 방의 버튼만 누르면 기저귀가 자동으로 배달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서비스 품목이 많아지면서 각각의 제품마다 필요한 대시버튼이 많아졌고 주문도 복잡해지면서 아마존이 추구했던 편의성과 효용성은 떨어지고 말았다.

    아마존은 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성인식’ 기술을 택했고, 알렉사를 출시했다. 모든 분야에서 공유되고 매개되는 것이 플랫폼인데, 이 경우 알렉사가 상품 주문을 위한 아마존의 인공지능 플랫폼이 되는 셈이다.

    사진=자료사진

     

    ◇ 인공지능 플랫폼 생태계

    플랫폼을 통해 주문 가능한 물품 혹은 서비스의 집합이 플랫폼 생태계다. 아마존을 예로 들면, 알렉사를 통해 주문되는 물품과 서비스가 알렉사 생태계인 셈이다.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의 종류와 규모가 생태계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올 1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수 많은 기업들이 알렉사 생태계로의 진입을 선언하면서 큰 화제가 된 바 있다.

    지난 2월 기준 알렉사 생태계에 포함된 제품과 서비스 종류가 1만 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비즈니스, 재무, 자동차, 교육, 음식, 게임, 헬스, 영화, 음악, 쇼핑, 스마트 홈, 소셜, 스포츠, 여행, 교통, 날씨 등 거의 모든 분야가 망라됐다.

    식당이나 영화, 스포츠 관람권, 비행기나 기차 예약도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말 한마디로 ‘제공’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에 음성인식 기술이 더해지면서 가능해진 4차 산업시대 삶의 모습이다.

    아마존 뿐 아니라 구글이나 애플, 페이스북 등 많은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을 통해 최강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 생태계 전쟁 속 빅데이터

    IoT 기기를 제어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중심기기를 ‘IoT 허브(Hub)’라 부른다.

    아마존(허브: 알렉사 에코)을 비롯해 ▲구글 홈(온허브) ▲애플 홈키트(TV) ▲삼성 otto(냉장고) ▲샤오미 미홈(미 라우터) 등 기업마다 허브는 제각각이지만, 이를 통한 플랫폼 생태계 전쟁은 치열하다.

    특히 대부분의 기업들이 ‘홈’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차량이나 금융 핀테크, 에너지 분야 등으로 대상을 확대해나가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지금까지 방대한 단말기(WiFi 및 클라우드)와 네트워크, 보안, 안정성과 가격 등 선결조건이 해결되는 거의 유일한 곳이 집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수익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빅데이터다.

    실제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전 세계 주요 IT기업들이 AI 개발 알고리즘(절차 혹은 방법)은 공개하면서도 빅데이터 공개는 꺼리고 있다.

    한국언론재단이 주관한 한 강연에서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인공지능의 핵심은 기술 소스가 아니라 빅데이터”라고 밝혔고 손진호 LG전자 상무(인텔리젼스 연구소장)는 “AI는 수단일 뿐 목적이 아니”라며 “AI를 이용한 상업이나 서비스 등이 진짜 산업”이라고 강조했다.{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