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자율주행의 딜레마…AI, 믿을 수 있을까



대전

    자율주행의 딜레마…AI, 믿을 수 있을까

    [4차 산업, 대체 뭐길래④] "결과는 좋은데 과정을 몰라…악용 배제 못해"

     

    제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누구도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급격한 사회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생각에는 대체로 동의한다. 낯선 개념과 용어, 여기에 당장이라도 4차 산업혁명이 현실이 될 것 같은 일부 호들갑스런 반응들에 당황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는 별도로 4차 산업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기 위해서는 경제성부터 윤리와 신뢰, 사회적 합의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사실. 4차 산업이 무엇인지,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아이들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CBS가 차분하고 쉽게 짚어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4차 산업이란]
    1. 4차 산업 어렵다고?…핵심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2. 4차 산업은 어떻게 서비스 되나…플랫폼 생태계 전쟁

    [기대와 두려움 그리고 선결조건]
    3. 상상은 어떻게 장밋빛 현실이 될까
    4. 자율주행의 딜레마…AI, 믿을 수 있을까
    5. 로봇세? 자본세?…사회적 합의 없이 혁명도 없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6. 일자리 대체? 보완?…사람이 답이다
    7. 저출산 고령화와 4차 산업…어떤 직업 뜰까
    8. 코딩과 메이커 교육 그리고 협업하는 괴짜

    인공지능(AI)의 판단은 항상 옳을까. 기술 개발은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사고의 법적 책임은. 장밋빛만큼 잿빛 전망도 많다. 진부한 질문 하나, "당신은 AI를 믿을 수 있습니까"

    ◈ 자율주행의 딜레마 = 주행 중 맞닥뜨린 도로 위 인부 5명. 핸들을 돌리면 인부들은 살릴 수 있지만, 인도를 걷는 행인 1명이 목숨을 잃는다. 자율주행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목숨을 잃는 사람이 행인이 아니라 운전자 당신이라면? 혹은 가족이라면?

    윤리학의 고전적 문제인 '트롤리 딜레마'의 많은 변형 중 하나인데, 자율주행의 '합리적 판단'을 묻는 질문으로 자주 활용된다. 제조사는 어떻게 프로그래밍해야 할까. 목숨이 걸린 판단을 제조사가 하는 건 옳은 걸까. 설문에 참여한 사람들은 '적게 죽는 쪽'을 택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이런 차는 타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 뱃속부터 금수저와 흙수저가 결정된다면 = 유전자 가위는 인간과 동물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특정 유전자 부위를 잘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인데, 이론적으로는 키나 머리카락 색 등 외모는 물론 지능 교정과 질병 예방도 가능해 생명공학계 혁명으로까지 불린다.

    하지만 문제는 기술 개발과 적용을 어디까지 허용하느냐. 중국과 영국 등에서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인간 배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범위를 넓혔다. 미국 국립과학원도 지난 2월 "인간 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편집 연구를 허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엄마 뱃속에서부터 질병 인자를 없애고 지능도 우수하게 '교정' 가능한 것으로 생명 윤리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빈부 격차로 인해 태어나기 이전부터 금수저와 흙수저가 결정되는 '생명 양극화' 문제도 있다.

    ◈ 법적 책임은 누구에게 = 자율주행 도중 발생한 사고 책임은 자동차 운전자에게 있을까 프로그램을 입력한 제조사에게 있을까.

    지난해 6월 플로리다에서 발생한 테슬라 자율주행 중 사망사고 발생 당시 책임 소재에 대한 공방이 뜨거웠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이 "차량 안전성 결함이 없다"고 결론 내리면서 당시의 공방은 일단락됐지만, 인공지능 기계 사고에 대한 책임 여부 자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자율주행이 궁극적으로 교통사고를 완전히 없앤다고 가정해도 과도기는 있기 마련. 이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에서 우리는 누구에게 어떤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인가. 인공지능 기계가 진출할 분야는 자율주행 뿐만이 아니다.

    AI는 아니지만, 3D 프린터의 허용 범위도 문제다. 자동차와 주택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권총을 비롯한 무기류의 복제는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

    ◈ 결과는 좋은데 과정은 몰라 =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무서운 이유는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학습 방법, 즉 과정을 알 수 없다는 것. 인류에 해를 끼칠 수도 있는 이른바 '강한 AI'에 대한 두려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홍규 연구원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의미한 결론 도출은 긍정적인 부분이지만, 도출 과정은 알 수 없다"며 "과정을 모르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진화할지 모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 "지금은 사람이 정해준 프로그램 안에서만 수집하기 때문에 큰 걱정 없지만, 앞으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과정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긍정적 활용 뿐 아니라 부정적 악용도 배제할 수 없다”며 “악용은 단 한번 만으로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동훈 관동대 교수는 "인공지능이나 유전자 가위 등의 기술 개발이 중단될 가능성이 없는 만큼 인류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발과 관리를 유도해야 한다"며 "의회는 이와 관련한 윤리적 문제와 법적 책임 문제를 입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유럽의회는 지난 1월 '로봇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와 개발, 활용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의회는 여기에서 로봇을 '전자인간(Electronic Person)'으로 인정하고 윤리적 문제 등 앞으로 닥쳐올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