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수준, 선진국에 4년 뒤져

경제 일반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수준, 선진국에 4년 뒤져

    정부, 소멸 일자리 방출 인력과 새로운 일자리 출현에 적극적 대응해야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자료사진)

     

    4차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화두인 가운데, 국내 제조업 대부분은 2020년경이면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활용계획 수립이 일단락되고 실행초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KIET)이 24일 발표한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은 설비능력의 신증설을 위한 투자보다는 공정간 연계를 위한 자동화 및 연결효율성 향상을 위한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범용기술 가운데, 우리가 강점을 가진 ICT 기술과 스마트공장 추진에서 적용이 활발해지며 바이오헬스, 스마트그리드 등 신산업의 경우 5년 후에는 원료조달에서 서비스까지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영향의 강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ICT 기술 발전에 따라 제품 특성이 하드웨어형에서 소프트웨어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주요 핵심기술과의 결합으로 네트워크형 제품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고용 측면에서는 고급인력 수요는 늘어날 것이며, 단순업무는 로봇의 도입에 의해 인력 감소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 주장했다.

    전반적으로 가공·생산에서의 감소, 설계·정보보안·신사업 영역에서의 고급인력 수요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은 선진국 대비 약 4년의 격차가 있으며, 가치사슬별로 살펴보면 제조·공정이 가장 대응 수준이 높지만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는 2년 정도 늦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의 저자인 정은미 박사와 산업경쟁력연구본부는, 기존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대한 고정관념과 제조업이냐 서비스업이냐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은미 박사는 4차 산업혁명에서 관건이 되는 일자리에 대해 정부가 소멸하는 일자리와 새로운 일자리 출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 박사는 또 "정책수단에 있어서 R&D예산 확대 일변도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보다는 규제 및 제도 개선을 통한 기업주도의 혁신 활성화와 과감한 사업재편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