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문제로 1년간 중단, 폐주유소 재생
-문화예술이 있는 곳, 판매자가 소비자도 되고 개인의 재능도 사고 팔 수 있는 시장
-수익금 기부, 청년창업 지원 등 지역사회 기여 노력
■ 방송 : 강원CBS<시사포커스 박윤경입니다="">(최원순PD 13:30~14:00)
■ 진행 : 박윤경 ANN
■ 정리 : 홍수경 작가
■ 대담 : 춘천뚝방마켓 김은석 대표
지역민들의 호응 속에 2015년 첫 개장했던,사회적 경제 네트워크, 춘천 뚝방마켓이 공간 문제로 위기를 겪다가, 지난 주일 새로운 곳에 터를 잡고 재개장했다.단순한 상행위를 하는 공간을 넘어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매개체로 자리하겠다는 계획이다.시사포커스 목요초대석에서 춘천뚝방마켓 김은석 대표를 만나봤다.
다음은 김은석 대표와의 일문일답.
◇박윤경>춘천 뚝방마켓이 지난 주일 열렸죠.얼마만에 다시 열린 건가?
◆김은석>1년 만에 다시 열렸다. 2015년 7월에 개장해 매월 셋째 주 토요일에 개최하다가 작년에 번개야시장 준비하던 중 잠시 중단했다. 시민들의 응원 덕에 이번에 다시 개장할 수 있었다.
◇박윤경>오랜만에 열린 뚝방 마켓, 많은 시민들이 반가워하셨겠다.
◆김은석>낮에 뚝방 마켓을 왜 안하느냐고 문의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말 못할 여러 사정 때문에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다가 시민들이 잘 모르는 곳이긴 하지만 안정된 공간에서 다시 시작하게 됐다. 대형축제가아니기 때문에 소소하지만 부모님이 어릴 적 하던 추억놀이들을 찾다가 개장이벤트로 딱지치기 대회를 열었다. 선착순 100명을 모집했는데, 2~3일만에 마감될 정도로 호응이 좋았고 당일에도 많이들 즐거워하셨다.
5월21일 '엉뚱한 주유소' 개소식 현장(사진=강원CBS)
◇박윤경>새로운 공간에서 다시 시작됐는데, 이곳이 폐주유소를 재생한 공간이라고?
◆김은석>우연히 발견한 공간이다. 뚝방마켓의 새로운 공간을 찾기 위해서 발품을 많이 팔았다. 소양강 뚝방길 인근이면서 공동공방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 찾기 위해 폐가나 폐공간을 알아보다, 소양3교에 있는 문 닫은 주유소를 찾게 됐다. 청년들의 생기발랄한 생각, 창의적인 생각을 묻어나게 이름을 짓고 싶어 ‘엉뚱한 주유소’로 짓게 됐다.
◇박윤경>이에 대한 반응은?
◆김은석>처음엔 찾아오기 힘들어 어려워하셨지만 공간이나 프로그램 운영을 보고, 즐거워하셨다.
◇박윤경>춘천 뚝방마켓, 지난 2015년부터 운영이 됐다. 대표님께서 초기부터 구상을 하셨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시작하셨나?
◆김은석>6년째 개인적으로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주로 사회적 경제 기업들의 판로를 만들어 드리고 마케팅 업무를 하는 곳이다. 직원들과 지역에 환원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 생각하다가, 프리마켓을 해보는 게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당시에는 지역에 프리마켓이 없는 상황이었다. 회사가 위치한 소양 1교 인근 신사우동 주민들, 핸드메이드 창작자들과 사회적 기업을 주축으로 열게 됐고, 소양강 뚝방에서 열게 돼 뚝방마켓으로 이름을 붙이게 됐다.
◇박윤경>사회적 경제 네트워크인 만큼 참여하는 셀러들도 다른 프리마켓과는 다를 듯한데 어떤 분들이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
◆김은석>고정된 참가자는 없다. 사회적 경제 기업들 중심으로 춘천시민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참여자들 중 제일 많은 분들이 경력단절여성이다. 출산 때문에 직장에 안 다니지만 재능을 가지고 있는 분들. 취미로 작품을 만들다가 제품화하고 싶은 분들이 찾고 있고, 지금까지 한번이라도 마켓에 참여한 분들이 300여명 정도된다.
◇박윤경>뚝방마켓에 참여하는 셀러들은 자연스럽게 지역에 공헌할 수 있다고?
◆김은석>강제는 아니지만 초창기부터 수익 10%정도를 모금할 수 있는 모금함을 만들어 무기명으로 모금하고 있다. 지역내 연탄나눔이나 김장나눔 등 취약계층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고 있다.
◇박윤경>이런 아마추어 셀러들이 뚝방마켓에서 경험을 쌓아..실제 창업까지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할텐데?
◆김은석>그래서 많이 고민이었다. 청년 취업도 잘 안 되는 상황이고 참가자들 중 경력단절여성들이 많다보니 체계적으로 창업에 성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강원도 사회적 경제센터에 제안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고용노동부와 함께 핸드메이드 하는 분들에 대한 1대 1멘토링 지원과 함께, 공방창업을 원하면 공간연계도 하고 있다. 또 공방을 링크해서 관광객들이 관광코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스토리도 개발해보려 하고 있다.
◇박윤경>시민들과 셀러들의 높은 호응에도 불구하고 장소문제로 한동안 위기를 맞았었다. 어떤 과정이 있었나?
◆김은석>공간 문제는 비단 춘천만의 문제는 아니다. 주로 개최하고 있는 곳인 공원, 하천 등이 공원법 하천법에 보면 상행위를 금지하게 돼 있다. 저희는 이를 단순한 상행위로 볼 것 아니라 지역 문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주목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행정에서는 어려움 있는 것 같다. 서울시의 경우 서울시장 활성화 조례를 만들어 해결방식을 찾고 있는데 우리 지역에서도 시민마켓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고 조례를 만드는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하고 있다.
◇박윤경>어쨌든 뚝방마켓의 공간문제는 완전히 해결된 건가?
◆김은석>완전하지는 않지만 걱정하지 않고 매주 일요일 1시에 열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됐다고 본다. 이 공간을 마련하는 데 시민들이 안타까운 마음에 후원과 응원을 해주셨다. 아직 공간이 많이 알려지지 않아서 차차 그 공간을 꾸미고 불편함이 없도록 만들어가겠다.
◇박윤경>이제는 상설운영하게 된 만큼 지역에 좀 더 확실히 정착하지 않을까 싶은데, 정말 이 프리마켓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 파는 곳이 아닌 것 같다. 어떻게 보시나?
◆김은석>프리마켓을 저희는 시민시장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일반장터의 의미보다는 전통시장이나 골목시장 혼자 가질 수 없는 것을 시민시장을 통해 같이 살려나갈 수 있는 일을 해보고 싶다. 문화예술이 있는 곳, 판매자가 소비자도 되고 개인의 재능도 사고 팔 수 있는 좋은 의미의 시장이라고 본다.
춘천뚝방마켓 김은석 대표(사진=강원CBS)
◇박윤경>지금 타 지역에서도 프리마켓이 활성화된 곳이 있다. 프리마켓 때문에 그 지역을 일부러 방문하는 분들도 있는데, 뚝방 마켓도 조만간 지역을 대표하는 행사로 자리잡을 것 같다. 어떤 계획?
◆김은석>한국 프리마켓의 원조라 볼 수 있는 홍대 앞 예술시장. 특히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양평의 리버마켓도 명물 프리마켓이 됐다. 프리마켓 하나가 자리를 잡음으로서 관광객을 유입시키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번개시장과 함께 번개야시장도 같이 운영하고 있는데, 시민마켓이 전통시장 골목 곳곳에서 기존 상인들과 같이 어울리면서 좋은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박윤경>뚝방마켓이 가진 장점이라면?
◆김은석>소양강이란 환경이 가지고 있는 장점, 예술과 문화가 잘 어울리는 곳이라는 점이다. 양평의 리버마켓도 좋은 경관을 가지고 있지만 춘천이 가진 장점도 많다. 기존의 수공예중심의 시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 기업, 골목시장, 영세상인들이 함께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시민 스스로 만들고 판매하는 시민마켓이라 할 수 있다.
◇박윤경>사는 사람도 즐겁고 파는 사람도 기분 좋은 곳인 동시에,지역경제 활력 불어넣는 뚝방마켓 되길 기대한다. 말씀 감사.춘천뚝방마켓 김은석 대표였다.
시사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