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기동헬기인 수리온은 국산명품이라고 불려왔지만 개발 과정에서의 예산낭비 시비와 개발 기술에 대한 의심, 잦은 사고 등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개발비 1조 2천여억 원이 투입돼 개발된 수리온은 완전무장한 1개 분대를 태우고 시속 260km로 최대 450km까지 비행할 수 있다.
감사원이 16일 수리온에 대해 사실상 총체적 결함이라며 지난해 상하반기에 두차례에 걸쳐 벌였던 감사결과를 내놨으나 수리온에 대한 문제제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감사원은 2015년에도 방사청이 한국항공우주산업( KAI)와 수리온 체계 개발을 위한 확정 계약을 맺은 이후 핵심 부품인 동력 전달 장치의 국산화가 실패했는데도 156억 원을 환수하지 않는 등 사업 전반에서 7백억 원 이상을 낭비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방위사업청은 이에 대해 정당한 절차에 따라 KAI와 계약을 맺었다며 개발 과정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결과만 따지는 것은 문제라고 반발했다.
같은 해 강원소방본부가 소방헬기를 구매할 때는 국산헬기인 수리온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사실상 입찰을 못하게 해 수리온의 제작사인 KAI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입찰 공고에 항공기 제원과 모든 장비의 성능입증서를 함께 제출하라고 돼 있었는데 당시 수리온은 소방장비 탑재 후 관련 인증을 정부로부터 받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당시 강원소방본부는 "수리온을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강원도가 요구하는 8개 항목에 대해 안전성을 증명하는 ‘적합성 인증서’ 등 관련서류를 제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수리온의 문제는 무엇보다 전력화된 후에 사고가 잦았다는 것이다. 사고에 대한 조치와 대응도 부실했다.
2015년 1월과 2월에 수리온 12호기와 2호기가 엔진과속 후 정지되는 현상으로 비상착륙했다.
앞서 2014년 8월에는 수리온 16호기가 프로펠러와 동체상부 전선절단기 충돌로 파손돼 엔진이 정지되는 사고가 났다.
대응도 부실해 프로펠러가 동체를 때리는 근본적인 문제를 찾는 대신 조종사들에게 이륙할 때 속도를 낮추라는 임기웅변식 지침이 내려갔다.
전면 유리창이 깨지는 사고도 5번이나 났다. 감사원은 바람에 날려온 돌멩이 등에 유리창이 깨져도 최소 시야 확보를 위해서는 자동차 유리같은 잔금이 가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유리였다고 지적했다.
지난 5월말에는 헬기 8대의 동체 프레임에서 균열이 발견돼 20일간 모든 헬기의 운항이 중단된 적도 있다.
이 헬기가 결빙 성능과 낙뢰보호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엔진형식 인증을 거치지 않아 비행 안정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않았다는게 감사원이 내린 결론이다.
감사원은 "방사청이 실제 비행시험을 통해 체계결빙 안전성을 확인하고 수리온 헬기를 전력화했어야 한다"며 "2009년 1월 개발기간이 3년이 남아 비행시험을 할 여유가 있었음에도 방사청은 사업일정을 이유로 시험비행을 미뤘고, 결빙 관련 성능이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해외시설에서 수행하는 조건으로 2012년 7월 적합판정을 했다"고 지적했다.
조종사들의 생명보호라는 안전이 최수선이 돼야 하는데 사업 일정과 예산 미사용에 대한 문제, 사업 완수를 위한 조급함과 안전불감증이 근본 문제라는 얘기다.
수리온은 2012년 7월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아 개발이 완료됐으며 2012년 말부터 육군이 60여대를 도입해 현재 운용 중이다.
감사원은 육군에 수리온의 결빙환경 운용능력이 보완될 때까지 전력화를 중단할 것을 요청하고 방사청장과 협의해 안전관리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감사 결과에 대한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방사청과 제작사 모두 국산 명품헬기 최초 개발이라는 성과에만 매달려 가장 중요한 안전을 도외시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