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조사를 벌인 결과 국내 미세먼지의 3분의1가량은 중국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중국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5~6월에 측정한 결과여서, 실제 국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보다 적게 산정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지난해 5~6월 함께 벌인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설명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공동 조사에 따르면,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PM2.5)의 경우 국내 요인이 52%, 국외 요인은 48%로 분석됐다.
국외 요인 가운데는 중국 내륙이 34%, 북한이 9%, 기타 6%였다. 중국내 지역 가운데는 산둥이 22%로 가장 많았고 북경 7%, 상해 5%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선 또 국내 요인만으로도 WHO(세계보건기구) 하루 평균 PM2.5 권고 기준인 25㎍/㎥를 넘는 날들이 확인됐다.
PM2.5를 생성하는 전구물질을 분석했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질(OC)·질소산화물(NOx)·암모니아·블랙 카본(BC)이 미세먼지 발생 요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존 발생 원인의 경우 서울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특히 톨루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수도권 남부 지역의 대기질은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 배출 오염물질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게 당국 설명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유기 화합물질을 감축하면 미세먼지와 오존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좀더 세밀한 오염원 조사를 통해 배출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