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1년 싸워 빚만 1억"…다시 거리로 나선 KTX 해고승무원



노동

    "11년 싸워 빚만 1억"…다시 거리로 나선 KTX 해고승무원

    '지상의 스튜어디스' 뒤집힌 판결로 빚더미…월 이자만 100만원

    지난 10일부터 열흘간 서울역 맞이방(대합실)에서 토크콘서트 등을 열어 시민들 앞에 직접 나선 KTX 해고승무원들(사진=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제공)

     

    지난 2006년 별안간 해고된 뒤 복직소송과 농성을 벌여왔던 KTX 승무원들이 또다시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뒤집힌 판결로 앞서 받았던 임금까지 고스란히 부채로 잡혔지만 이대로 물러설 순 없다며 목청을 높이고 있다.

    ◇ 언제 붙을지 모르는 '압류딱지'

    대법원이 KTX 승무원 복직 소송과 관련해 패소 취지 판결을 내린 다음 날인 지난 2015년 3월 4일 오전 서울역광장에서 KTX 승무원 지부장 및 조합원들이 기자회견 종료 후 쓸쓸한 모습으로 귀가하고 있다. 이 판결은 이후 같은 해 11월 고등법원에서 확정 선고됐다. (자료사진=황진환 기자)

     

    "직접고용 해주겠다던 약속을 지켜달라"고 요구하다 해고된 KTX 승무원들이 '복직 소송'에서 최종 패소한 건 지난 2015년 11월.

    아무도 예상치 못한 결정이었다. 1, 2심과 가처분 소송에서 이겨 4년 치 밀린 임금까지 받았던 이들은 당시 회사로 돌아갈 날만 고대하고 있었다.

    심지어 패소 이후 법원이 앞서 받았던 임금을 토해내라고 판단하면서 결국 1인당 빚만 1억 원(이자 포함)이 넘게 쌓이게 됐다.

    매월 100만 원의 이자와 언제 붙을지 모르는 압류딱지를 걱정하게 됐지만 현재 노조에 남은 33명은 이 돈을 쉽게 갚을 수 없다고 한다.

    해고승무원 배귀염(34) 씨는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날까 압박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걸 갚으면 우리가 잘못했다고 인정하는 셈이 될까 싶어 그럴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비정규직이 떼쓰다가 지쳐서 나가떨어졌다'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다"며 "우리는 정당한 요구를 하다 박근혜정권 하 사법부에 배신을 당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지상의 스튜어디스' 입사 6개월 만에

    배귀염 씨(사진=김광일 기자)

     

    배 씨는 대학교 졸업반이던 지난 2005년 9월 KTX 승무원 4기로 입사했다. 당시 '지상의 스튜어디스'라고 알려져 세간의 관심이 집중됐던 만큼 가족과 친구들의 축하를 한 몸에 받았다. 소속이 애매했지만 "정규직으로 직접고용 될 것"이라고 듣고 그렇게 믿었다.

    그런데 6개월 뒤 회사 측에 직접고용을 요구하는 총파업에 참여한 뒤 난데없이 정리해고를 당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금방 돌아갈 수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싸움은 길어졌고 조합원 280명 가운데 대부분은 파견근로 형식으로 업무에 복귀하거나 다른 일을 찾아 떠났다. 임금을 토해내라는 법원 결정 보름 뒤에는 3살 아이를 키우던 선배가 끝내 삶을 포기하기도 했다.

    배 씨는 "우리의 지난 11년이, 일하면서 돈 벌고 사시는 다른 분들보다 더 힘들었다고 할 순 없다"면서도 "그러나 싸움이 길어지는 것은 솔직히 우리에게 너무 힘든 부분이었다"고 말했다. "떠나간 동료들도 이제는 이해가 간다"는 말도 덧붙였다.

    ◇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이유

    지난 10일부터 열흘간 서울역 맞이방(대합실)에서 토크콘서트 등을 열어 시민들 앞에 직접 나선 KTX 해고승무원들(사진=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제공)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철도노조와의 정책협약을 통해 "KTX 승무원 문제를 전향적으로 해결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애초 '꼼수고용'이라 불리는 파견근로가 참여정부에서 시작됐던 점을 기억하는 해고노동자 입장에선 안심할 수 없는 상황.

    해고승무원들은 "지켜만 보고 있을 수 없다"며 7월을 '집중행동 기간'으로 정했다. 지난 10일부터 열흘간은 서울역 맞이방(대합실)에서 토크콘서트 등을 열어 시민들 앞에 직접 나서기도 했다.

    11년…. 긴 싸움을 버틸 수 있게 하는 건 함께 싸우다 먼저 세상을 떠난 동료, 그리고 뒤따르는 다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이들은 설명했다.

    "먼저 떠난 동료의 어린아이가 나중에 컸을 때 '엄마가 잘못해서 그렇게 됐다'는 얘기를 듣게 하고 싶지 않아요. 옳은 일을 했고 정당하게 싸웠는데…명예회복하는 날까지 멈추지 않을 거예요" (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김승하 지부장)

    "사명감보다는 내 일이기 때문에 싸운 거지만 비정규직 파견근로자의 상징이 된 만큼 '나쁜 선례'가 돼서 다른 노동자들의 발목을 잡고 싶지 않아요. 우리가 더욱 포기할 수 없는 이유예요. 시민들이 '아직 싸우고 있구나' 하고 알아만 주셔도 힘이 납니다" (배귀염 씨)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