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남북한과 미국, 중국 등 북핵 6자회담 당사국을 포함한 27개 회원국이 참가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연례 외교 장관 회의가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다.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핵이 ARF의 주요의제로 떠오른 가운데, 남북 회담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는 모양새다.
지난 6일 ARF 회의 참석 차 필리핀에 머물고 있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미국 틸러슨 국무장관과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북한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했다.
양국 외교장관은 이날 새벽에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대해 "매우 좋은 결과"라면서 제재 결의의 철저한 이행과 북한의 추가 도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틸러슨 장관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3국 공조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철저한 대북 제재 이행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앞서 북한의 ARF회원국 자격 정지까지 언급하며 북한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는 미국이 대북 강경 제재에 대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5일에는 이례적으로 아세안 10개국이 지난 5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핵 개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공동성명을 내기도 했다.
특히 그간 북한 제재에 소극적 입장을 취해왔던 중국 역시 안보리 제재 결의의 철저한 이행과 무력도발 중단을 촉구하면서 북중 사이 냉랭한 기류도 흘렀다.
6일 정오부터 1시간동안 열린 북중 양자회담 뒤, 중국은 "안보리가 발표한 대북제재 결의에 냉정하게 대응할 것을 촉구했으며, 안보리와 국제사회의 소망에 어긋나는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더이상 하지 말도록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리 외무상의 반응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 대북제재 결의안이 미·중 양국의 합의에 의해 도출됐다는 점에 대해 북한이 강력 항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렇듯 북한을 둘러싸고 ARF 회원국들이 규탄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기대했던 남북 대화는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측 관계자는 지난 6일 새벽 입국하면서 '강경화 장관을 만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만나지 않을 것이란 뜻을 밝혔다. 이후에도 거듭 남북대화와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이 이어졌지만 북 측은 부정적인 뜻을 피력했다.
북한 대표단 입국 전부터 국제사회의 제재·압박에 대한 목소리가 거센데다, 북한 역시 이번 ARF회의를 계기로 자신들의 핵미사일 개발의 정당성을 설파하려 하는만큼 앞으로도 의미있는 대화가 이뤄지기는 힘들다는 분석이다.
7일 한미일 외교장관은 3국 회담을 열고 북한 핵 미사일 대응책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신규 대북제재 결의 채택 이후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ARF 회의에서 북한과 국제사회의 대립각은 더욱 도드라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