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국방/외교

    "北 재진입 기술, 실험실 갓 벗어난 수준"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원 보고서 "화성-14형 재진입 실패"

    지난 28일 북한이 두번째로 발사한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북한조선중앙TV 영상)

     

    북한이 지난달 28일 심야에 기습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이 대기권 재진입에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원은 17일 '화성 14형 2차 시험발사에 따른 김정은의 득과 실'이라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에서 "화성-14형의 재진입은 실패라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 3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이 제시한 화성-14형의 대기권 재진입 실패 근거는 다음 3가지다.

    먼저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시 화학적 삭마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수천℃ 고온의 플라스마 흔적(track)이 대기층에서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과거 미국이나 러시아가 공개한 시험발사 자료에는 주·야간을 불문하고 화학적 삭마(고열로 탄두가 깎이는 것) 현상으로 발생한 고온의 플라스마 흔적이 일직선으로 길게 나타났지만 화성-14형의 2차 시험발사의 재진입 과정에는 이런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화학적 삭마 현상이 일어나는 온도까지 열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대기권 재진입 실패 근거는 NHK 방송 카메라에 포착된 불꽃 문제다.

    이 연구원은 재진입체로 추정되는 물체가 일본의 홋카이도까지 근접해 NHK방송 카메라에 포착된 것을 분석한 결과, "재진입체가 불꽃을 일으키고 나서 공중에서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의 탄두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서 내폭장치를 터뜨린 것으로 보기에는 불꽃의 모양이 이상했다"며 "불꽃이 보이고 나서 공중에서 사라졌다고 하는 점과 이후에 추가적인 폭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모의 탄두가 정상적으로 폭발하지 않은 채 비정상적으로 폭발하거나 타버렸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세 번째 근거로 "탄두가 정상 폭발됐다고 가정하더라도 카메라에서 관측된 폭발 고도가 높아 지상까지 도달하는 재진입 능력을 갖췄다고 인정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즉 카메라에 포착된 고도(대략 3∼4km)에서 정상적으로 폭발했더라도 핵탄두로서 위력은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표준 핵탄두(약 20㏏)가 그 고도에서 터졌다고 해도 지상의 목표물에 대한 충격파, 열, 낙진 등의 피해를 거의 주지않기 때문에 재진입 기술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재진입 기술은 지금 실험실 수준을 갓 벗어난 상태라 할 수 있다"면서 "화성-14형의 재진입체가 불타는 모습을 지켜보았을 김정은이 추가 시험발사를 기획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