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단거리탄도미사일인지, 300㎜ 방사포인지를 놓고 혼선이 빚어졌던 북한의 발사체가 단거리탄도미사일로 정리됐다.
군 당국은 28일 "북한이 지난 26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발사체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28일 "한미공동 분석결과, 300㎜ 방사포보다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발사체 발사 당일 북한이 26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불상 단거리 발사체를 '개량 300㎜ 방사포(대구경 다연장포·Multiple Rocket Launcher)'로 추정했다.
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북한이 발사했을 당시 초기 데이터인 고도, 사거리를 근거로 분석했을 때 300㎜ 방사포 제원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최초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방부는 당시 청와대에 보고에서 "300㎜ 방사포 등 다양한 단거리 발사체"로 표현했지만 청와대는 '방사포'에 방점을 찍어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군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 직후 언론에는 "불상의 발사체"라고만 밝히고 "추가정보를 확인 중"이다고 신중한 입장이었다.
하지만 청와대에는 300㎜ 방사포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한 것인데 청와대가 이를 즉각 공개해 300㎜ 방사포에 무게가 실리면서 미·일·러 등 주변국들은 탄도미사일로 규정했는데 우리만 UN 제재 대상이 아닌 방사포라고 했다가 이틀만에 번복한 셈이 되고 말았다.
우리 군의 정보분석이 한계와 허점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미군도 '3발 모두 실패'에서 '2발 성공'으로 수정했는데 우리 의견을 받아서 진행된 것"이라며 "그만큼 초기 자료를 갖고 탄종을 구분하기는 대단히 어렵다"고 토로했다.
한미 모두 발사 초기에는 각자 갖고 있는 정보로만 발사체 분석을 했고 이후 정보 교류를 통해 판단을 수정했다는 의미다.
관계자는 청와대의 발표시점에 미군과 정보교류가 없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한미간 정보교류가 이뤄지고 있지만 생각하는 것처럼 빠르지 않다"고 말했다.
북한의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3발 가운데 1발은 발사 직후 폭발했고 2발은 50여㎞의 최대 고도로 250㎞ 날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탄도미사일의 경우 단거리라도 보통 80㎞ 이상 치솟게 되는데 북한이 이번에는 의도적으로 저각도로 발사해 우리 군당국의 판단을 교란시킨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북한은 중거리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쏠 때 지나치게 먼 해역에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주로 고각발사를 해왔다.
군 당국은 발사된 단거리탄도미사일이 스커드 미사일인지 신형 미사일인지에 대해서도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만 밝혔다.
유사시 북한이 쏜 발사체의 종류를 최대한 빨리 팍악하는 것은 우리 군의 대응과 직결되는 문제로 매우 중요하다. 발사체의 종류에 따라 대응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