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일주도로공사 동원된 후 지서 끌려가 고문받아

제주

    일주도로공사 동원된 후 지서 끌려가 고문받아

    [제주4·3수형인]⑤조병태 "산사람이 괴롭히고 군경이 괴롭히고..."

    제주4·3(1947.3~1954.9)으로 제주도민 3만 여명이 죽고 민간인 2500여명이 군사재판을 받았다. 이들 수형인들은 고문 후유증으로 감옥에서 죽거나 살아남은 자는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와 함께 억울한 삶을 살아왔다. 현재 신고된 수형 생존자는 33명. 이 가운데 18명이 지난 4월 19일 제주지방법원에 ‘4·3수형희생자 불법 군사재판 재심’을 청구했다. CBS 노컷뉴스는 이들 18명의 기구한 삶을 소개한다. 기사는 수형 생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인터뷰 형식을 취했다. 당시 나이는 수형인명부를 따랐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양근방(84·당시 16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2. 정기성(95·당시 27살): 1949년 7월 1일, 무기징역(마포)
    3. 박내은(86·당시 21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4. 오영종(87·당시 20살): 1949년 7월 3일, 징역 15년(대구)
    5. 조병태(88‧당시 18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인천)
    6. 부원휴(88‧당시 18살): 1948년 12월 15일, 징역 1년(인천)
    7. 박동수(84‧당시 18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8. 오희춘(84‧당시 18살): 1948년 12월 10일, 징역 1년(전주)
    9. 김평국(87‧당시 18살): 1948년 12월 5일, 징역 1년(전주)
    10. 현우룡(94‧당시 26살): 1949년 7월 2일, 징역 15년(대구)
    11. 현창용(85‧당시 16살): 1948년 12월 9일, 징역 5년(인천)
    12. 한신화(95·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13. 김경인(85‧당시 18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4. 양일화(88‧당시 16살): 1948년 12월 27일, 징역 5년(인천)
    15. 오계춘(92‧당시 25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전주)
    16. 임창의(96‧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1년(전주)
    17. 김순화(84‧당시 17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8. 박순석(89‧당시 21살): 1949년 7월 7일, 징역 3년(전주)
    19. 재심청구 변호인단
    20. 제주 4‧3도민연대


    조병태 할아버지 (사진=문준영 기자)

     

    “대통령이 4·3해결을 공약으로 내세웠잖아요. 좋게 해결해줬으면 좋겠어요. 명예회복만 됐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후손들이 이런 일 겪지 않도록 잘 해결해줬으면 좋겠어요.”

    구순을 눈앞에 두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조병태(88) 할아버지의 소원은 4·3사건의 완전한 해결이다.

    ◈ 18살 때 작업 나갔다 붙잡혀

    조씨는 어렸을 적 일본에서 제주로 넘어왔다. 3살 때 아버지와 어머니가 이혼해 할머니와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조씨 가족은 농사지을 땅이 없어 남의 집에 얹혀 살며 머슴살이를 했을 정도로 가난했다.

    고달픈 삶을 살던 조씨가 4·3을 겪은 건 1948년 10월 중순이다. 당시 나이 18살.

    군경이 동네 사람들을 마을에 있는 강정 향사로 불러 모은 것이다. 당시 군경은 30여명의 이름을 부른 뒤 이들을 밭에 데려가 한 번에 총살했다.

    “왜 죽인지 몰랐어요. 빨갱이라는 이유로 죽였다고 들었습니다. 그때 죽은 사람 가족들이 밭에서 시체를 끌어다 밤새도록 장을 지냈습니다. 마을에 곡소리가 끊이질 않았어요.”

    집단 총살 사건 이후 며칠 뒤 마을 사람들이 일주도로 공사 작업에 동원됐다. 관에서 ‘산사람들이 내려와 전깃줄을 끊어버렸다‘며 수리작업을 시켰다.

    조씨는 소나무 밭에서 나무를 베다 대를 세우는 작업을 했다. 작업은 6시쯤 끝났다.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왔는데 소서(마을 일을 보는 사람)가 이름을 불렀다. 그 뒤 서귀포 법환 지서에 끌려가 고문을 받는다.

    “지서에 불 끄는 방화수가 있어요. 물통에. 옷을 다 벗기고 사다리에 묶어서 자빠뜨려서 그 물을 먹였습니다. 그 때가 10월 중순이었으니 얼마나 추웠겠어요. 그 물을 먹인 다음 형사들이 배를 발로 밟아요. 밤새 그렇게 당했습니다. 고문하면서 경찰이 ‘너 산에 언제 갔느냐, 산 사람들에게 뭘 줬느냐’하는 질문을 해요. 너무 힘들어 헛소리로 그렇다고 말했죠. 쓰러져서 기절하니 아침이었습니다.”

    조병태 할아버지 (사진=문준영 기자)

     

    아침에 일어나보니 조사관 앞에 조서가 두껍게 쌓여있었다. 두려웠다. 조서 담당이 경찰서 뒤로 부르더니 조서를 전부 찢어 불에 태웠다. 경찰은 모두 없는 걸로 해 줄테니 사실만 말하라고 했다. 조씨는 예전에 산사람이 내려와 도장을 찍은 게 전부라고 말했다.

    “당시에는 산사람들이 자꾸 부락에 내려왔었어요. 종이에 도장을 받아가곤 했는데 그때는 그냥 무조건 찍으라고만 했어요. 안하면 그놈들한테 죽으니까 찍었죠. 산에서는 산대로, 해변에서는 해변대로 그렇게 사람을 괴롭혔습니다. 단지 그것밖에 없다고 경찰한테 말했어요.”

    뒷날 조씨는 서귀포경찰서로 넘어가 모진 고문을 당한다. 이후 제주경찰서로 옮겨졌지만 고문은 멈추지 않았다. 손가락을 묶어 천정에 달아 메고 마구 팼다. 두드려 맞아 코피가 터지고 기절하면 묶은 손을 풀어 바닥에 내동댕이쳤다.

    “유치장에 사람들은 왜 그렇게 많이 담아 놓는지. 앉지도 못하고 서지도 못하고 뒤엉켜서 지냈습니다. 그래도 잠이 오면 기대서 서로 잤어요. 일어나 보면 옆에 사람이 죽어 있고 그랬습니다. 하도 고문이 모질어서.”

    경찰에 있던 조씨는 제주시 관덕정에서 100여명과 함께 군법회의를 받고 화물선을 통해 목포항으로 옮겨진다. 목포항에는 시민들이 '한라산 빨갱이가 왔다'며 구경을 나왔다. 배에서 내린 사람들은 인천과 대전, 대구 등으로 분산됐다.

    추미애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99년 9월 15일 당시 정부기록보존소에서 발견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조병태 할아버지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8년 12월 26일로 기록돼 있다. (사진=4.3수형인 명부, 문준영 기자)

     

    국가기록원에 기록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조병태 할아버지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8년 12월 26일로 기록돼 있다

    “인천형무소에 도착해서야 징역인 걸 알았습니다. 형무소 안에 집합시켜 놓고 형을 말해줬습니다. 저는 내란죄로 1년을 받았습니다. 29호 감방에서 5명과 함께 살았습니다. 먹는 게 얼마나 형편없던지. 저희는 숫자 3이 찍힌 3등밥을 줬습니다. 주먹만큼도 안한 거. 쌀은 보일까 말까한 밀밥. 미군놈들 먹던 통조림 깡통으로 국그릇 만들어서 소금국 준 게 전부였습니다.”

    조씨는 낮에는 형무소 밖으로 나가 배추를 가꾸고 밤에 돌아왔다. 1년이 지난 1949년 10월 출소했다.

    “출소할 때 반납했던 옷을 받았는데 피로 다 절어 있었어요. 옷을 풀려고 해도 피가 굳어서 풀어지지가 않더라고요. 그때 왈칵 눈물이 쏟아졌어요. 너무 억울하고 서러워서. 옷을 보니까 고문 받을 때 생각이 나서. 형무소 문밖으로 나가니까 큰 연못이 있었는데 거기에 옷을 던져버렸습니다.”

    조씨가 출소한 다음해 6.25전쟁이 일어났다. 마을 청년들은 소집됐고 조씨는 서귀포지서로 잡혀갔다. 경찰은 전과자라는 이유로 조씨를 가둬 놓았다.

    이후 조씨는 해병대에 입대해 6년 동안 군복무를 했다. 1957년도에 제대해 결혼했지만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살아야 했다.

    이유 없이 잡혀가 모진 고문으로 억울한 옥살이를 하고, 감시를 받으며 평생을 살아야 했던 조병태 할아버지.

    구순을 앞둔 그의 바람은 ‘명예회복’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