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1947.3~1954.9)으로 제주도민 3만 여명이 죽고 민간인 2500여명이 군사재판을 받았다. 이들 수형인들은 고문 후유증으로 감옥에서 죽거나 살아남은 자는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와 함께 억울한 삶을 살아왔다. 현재 신고된 수형 생존자는 33명. 이 가운데 18명이 지난 4월 19일 제주지방법원에 ‘4·3수형희생자 불법 군사재판 재심’을 청구했다. CBS 노컷뉴스는 이들 18명의 기구한 삶을 소개한다. 기사는 수형 생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인터뷰 형식을 취했다. 당시 나이는 수형인명부를 따랐다. [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 |
1. 양근방(84·당시 16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2. 정기성(95·당시 27살): 1949년 7월 1일, 무기징역(마포) 3. 박내은(86·당시 21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4. 오영종(87·당시 20살): 1949년 7월 3일, 징역 15년(대구) 5. 조병태(88‧당시 18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인천) 6. 부원휴(88‧당시 18살): 1948년 12월 15일, 징역 1년(인천) 7. 박동수(84‧당시 18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8. 오희춘(84‧당시 18살): 1948년 12월 10일, 징역 1년(전주) 9. 김평국(87‧당시 18살): 1948년 12월 5일, 징역 1년(전주) 10. 현우룡(94‧당시 26살): 1949년 7월 2일, 징역 15년(대구) 11. 현창용(85‧당시 16살): 1948년 12월 9일, 징역 5년(인천) 12. 한신화(95·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13. 김경인(85‧당시 18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4. 양일화(88‧당시 16살): 1948년 12월 27일, 징역 5년(인천) 15. 오계춘(92‧당시 25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전주) 16. 임창의(96‧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1년(전주) 17. 김순화(84‧당시 17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8. 박순석(89‧당시 21살): 1949년 7월 7일, 징역 3년(전주) 19. 재심청구 변호인단 20. 제주 4‧3도민연대 |
박동수 할아버지 (사진=문준영 기자)
1931년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에서 태어난 86살 박동수입니다. 농사짓는 부모님 아래서 태어났습니다. 가난해서 학교는 다니지 못했습니다. 돼지털을 뽑아 먹물을 조금 묻혀 한문 배운 게 제 교육의 전부입니다. 당장 먹고 살기 급급했던 저희들이 사회분쟁이 뭔지 알리 만무했죠. 저는 17살 때까지 부모님 농사만 도와드렸습니다.
열일곱이던 1948년 4.3을 몸으로 겪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살던 중산간 지역은 ‘접전지역’이었습니다. 산에는 ‘산사람’들이, 해안에는 ‘군경들’이 중산간을 압박했습니다. 아래에서 순경이 올라온다고 하면 도망가야 했고, 산사람들이 내려와 쌀을 요구하면 줘야 했습니다.
그 중 제일 무서웠던 게 ‘얼룩개’였습니다. 검은색 흰색으로 된 얼룩옷을 입은 서북청년단을 동네 사람들은 얼룩개라 불렀습니다. 그들은 중산간 사람들을 보면 무지막지하게 패고 죽였습니다. 나이든 사람도 구별 없이 팼습니다. ‘너네 아들 어디갔냐’고 물은 뒤 죽게 패는 겁니다. 아직도 ‘얼룩개’라고 하면 치가 떨립니다.
핍박이 심해지자 저는 아버지와 형과 함께 애월읍 중산간으로 올라갔습니다. 어머니와 여동생들은 해안으로 도망가고 삼부자만 올라갔습니다. 그때가 1948년 말이었습니다. 제주도에 계엄령이 내려질 때죠. 당시 군경은 산사람을 적으로 간주했습니다.
우리 삼부자는 보리양식을 집에 몰래 숨기고 있었고, 계엄령 시기를 몰라 산에 갇혔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 통행이 금지돼 버린 거죠. 아래도 못가고 위에도 못가는 상황이 된 겁니다. 밭에 내려가 썩은 고구마를 파먹으며 산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그때 형과 아버지가 총에 맞아 죽었고, 혼자 살아 고아가 됐습니다. 그때 군인에게 잡혔습니다.
이후 해변에 있는 엄쟁이(제주시 애월읍 구엄지역) 지서로 옮겨졌습니다. 경찰은 잡혀온 사람들을 사람 취급하지 않았습니다. 기막히게 맞았습니다. 짐승보다 못했죠. 경찰이 제 머리를 잡고 벽에 치니까 코로 피가 막 솟았습니다. 무릎을 꿇게 하고 구두로 허벅지를 마구 밟았습니다. 구둣발에 철이 들었는지 너무 고통스러웠습니다. 허벅지가 찢어져 피가 흘러 내렸습니다. 죽게 맞고 지서에서 하루를 보냈습니다. 거기서 농업학교 수용소로 보내졌습니다.
박동수 할아버지가 4.3당시 지서에 끌려가 구둣발로 밟혔던 왼쪽 허벅지를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허벅지는 움푹 패어 있었다. (사진=문준영 기자)
농업학교에서 취조를 받으며 한 3개월 정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취조는 지독했습니다. ‘너 어디 가서 봉화 올렸냐.’ 모른다고 하면 팼습니다. 저는 봉화가 무슨 뜻인지도 몰랐습니다. 그러면 또 물어봅니다. ‘너 지서 습격했지, 산사람들에게 쌀 줬지.’ 아니라고 하면 또 팹니다. 그때 제가 어린 마음에 매를 피하기 위해 ‘예예’ 그랬습니다. 그때부터 잘못된 겁니다.
고문이 끝나고 관덕정 앞에 헌병대 영창으로 옮겨졌습니다. 한 달 살다가 동척회사로 옮겨졌는데 그곳에는 사람들이 우글우글 댔습니다. 이후 관덕정 앞에 있던 제주경찰서에 들어갔고, 나중에 재판을 받았습니다.
내가 어렸고 글도 몰라 정확한 날짜는 기억나지 않습니다. 살기 급급했으니까. 기억나는 건 그때 날이 더웠다는 것. 아마 여름이었을 겁니다. 7월쯤 됐나. 그때 관덕정에서 이름을 부른 사람들은 인천과 대전, 마포 등으로 보내졌습니다. 저는 소년이라 인천으로 보내졌습니다. 고깃배를 타고 목포항에 도착한 뒤 열차를 타고 인천형무소로 갔습니다.
-국가기록원에 보존된 4·3수형인명부에 따르면 박동수 할아버지는 1949년 7월 5일 군법회의에서 징역 7년을 선고받는다.
추미애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99년 9월 15일 당시 정부기록보존소에서 발견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박동수 할아버지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9년 7월 5일로 기록돼 있다. (사진=4.3수형인 명부, 문준영 기자)
형무소에 도착했을 때 형무소직원이 호명하는대로 앉으라고 했습니다. 일행이 100여명 정도 됐습니다. 거기서 ‘김OO’ 이하는 15년, ‘박OO’이하는 7년, 이런 식으로 형을 말해줬습니다. 그제야 제가 7년형을 받았다는 걸 알았습니다. 어려서 아무것도 몰라 어리둥절했죠. 그때는 살고 싶어서 아무것도 신경 쓸 수 없었으니까.
저는 4사상 19호 감방에 수감됐습니다. 1, 2, 3사상에는 강도 살인 저지른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감방에서는 12명이 같이 살았고, 밥은 항상 숫자 4가 찍힌 걸 먹었습니다. 양이 적어 항상 배고픔에 찌들어 있었습니다.
형무소에서는 제주 사람들이 많이 죽었습니다. 감방 안에 변기통이 없어 변소 보내달라고 하면 아래층 변소간으로 갔습니다. 세면장도 그곳에 있었습니다. 여름이라서 더웠는데, 사람들이 목이 타서 세면장 물을 먹습니다. 그러면 이질병에 걸리는 겁니다. 이질에 걸리는 순간 그냥 피똥 싸다 가는 겁니다. 생수가 없고 물을 끓여서 줬기 때문에 항상 목이 말랐습니다. 그렇게 1년 정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1950년 6‧25전쟁이 터지면서 형무소 사람들이 다 도망갔습니다. 수감자들은 전쟁 난 줄도 몰랐습니다. 형무소 직원들도 도망가고 없었습니다. 1, 2, 3사상에 있던 사람들이 나와 문을 열어줬습니다. 그때서야 전쟁이 터진 걸 알았습니다.
형무소를 탈출한 70~80명이 함께 모여 수원으로 갔습니다. 피난민들이 가득했습니다. 거기서 교도관을 만났습니다. 교도관이 어떻게 나왔냐고 묻자 자초지종을 설명했습니다. 옆에 군인들이 있었는데, 우리를 전부 차에 실어 쓸어버리라고 했습니다.
그때 형무소 목사가 우릴 구했습니다. 형무소에는 주마다 설교를 하는 목사가 있었습니다. 함경도 출신의 목사로 기억합니다. 목사가 ‘아버지가 없는 아이들을 왜 죽이냐. 죽여도 내 손으로 죽이지 당신네한테는 안 넘긴다. 총 메서 싸울 수 있는 아이들이다’라고 하며 아이들을 살려달라고 간곡하게 사정했습니다. 우리는 살아남았고, 다시 또 형무소로 옮겨졌습니다. 하지만 형무소로 돌아간 날 인천이 함락됐습니다. 인민군이 와서 감방 문을 열어줬습니다.
인민군들은 키가 짤막했습니다. 따발총 메고 형무소에 들어와서 저희를 풀어줬습니다. 죽는구나 싶었는데 나와서 밥 먹고 마음대로 하라고 하더군요. 남한군과 접전 중이니 알아서 하라고. 인민군들은 형무소에 있던 남한 젊은이들을 붙잡아서 교육을 시켰습니다. 인민군 교육을 서울 육군사관학교 자리에서 한 걸로 기억합니다. 그때 40일 정도 교육을 받았습니다. 학과수업 20일, 전투수업 20일. 글을 몰라 뭘 배운지 모르지만 사상 교육을 받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당연히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죠. 전투교육은 각개작전 같은 걸 가르쳤습니다.
이후 인민군이 저를 포함해 70여명을 광주로 보냈습니다. 저희는 전투병력이 아니었습니다. 차가 없어서 한 달 동안 걸어서 갔습니다. 그곳에서 죽지 않고 남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습니다.
1953년 휴전이 되니까 패전병이 진압됐고, 저희는 붙잡혀 광주 포로수용소로 넘어 갔습니다. 포로수용소에 3개월 정도 있었습니다. ‘인민군에 붙잡혀 교육받아 보내진 것이라고, 제발 살려달라’고 사정했습니다. 저는 지방포로로 심사를 받고 대구지방법원에서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때 법원이 저에게 죄가 없다며 집행유예를 선고해 제주에 올 수 있었습니다.
제주에 돌아오니 어머니하고 여동생 2명이 살아있었습니다. 어머니는 제가 죽은 줄 알고 제를 지내려 하고 있었습니다. 어머니를 안고 얼마나 울었는지 모릅니다. 사람 명이 이렇게나 질깁니다.
제주에 온 뒤에는 경찰 감시가 심했습니다. 당시 집에 경찰관이 있으면 ‘빽’이 좋았는데, 우리 6촌이 경찰 경무과에 있었습니다. 6촌이 빨리 군대를 가라고 말하더군요. 당시 4.3사건 연루자는 연좌제로 차별이 심했습니다. 집행유예 받았는데 군입대가 되냐고 물으니 6촌이 영장을 나오게 해줬습니다. 그거 받고 군대에 갔습니다. 다녀오니 건드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이게 제가 겪은 4.3입니다.
박동수 할아버지 (사진=문준영 기자)
이번에 재심 청구하려고 경찰서에 다녀왔습니다. 범죄 기록 떼보니 국방경비법 위반이 찍혀 있었습니다. 이게 남아있는 줄도 모르고 지금껏 살았습니다. 제가 내일이면 구순이니, 70년이 흘렀습니다.
억울합니다. 이런 누명을 두고 죽을 수는 없습니다. 때가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누명을 벗고 싶습니다. 저는 죄를 저지른 사람이 아닙니다. 공권력이 죄를 만든 것이죠. 보상이 중요한 게 아니에요. 명예를 회복해 달라는 겁니다. 국가가 잘못을 인정하고 이 죄를 없애 달라는 겁니다. 자기 이름 석 자도 쓰지 못하는 사람을 사상범이라고 몰고 옥살이를 시킨, 제 허물어진 삶을 해결해 달라는 겁니다. 이렇게 눈을 감을 수는 없습니다. 70년 넘게 제 삶에서 이어지고 있는 4.3을, 이 억울함을 풀어 주십시오.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정리=김대휘·문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