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의 새로운 길 열어



IT/과학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의 새로운 길 열어

    치매 모델동물과 사람의 일생을 비교해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행과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제시한 그림. (사진=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의 냄새를 못 맡는 원인을 규명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의 냄새를 못 맡는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문제일 교수 연구팀은 가천대학교 서유헌, 장근아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초기 진행 상황과 후각기능 이상 간의 연간 관계의 메커니즘을 풀어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60~80%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는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過)발현돼 뇌 안에서 축적되며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일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 이상에 주목해 중추신경계인 뇌뿐만 아니라 말초신경계인 후각신경계의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동물을 이용한 행동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발견되는 초기 후각기능 이상이 뇌 인지기능 이상을 보이는 생후 14개월보다 앞선 생후 6개월에 진행됨을 확인했다.

    또한 중추신경계 내부에서만 발현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말초신경계인 후각상피조직 자체에서도 직접 발현하는 것을 관찰했다. 더 나아가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 속 후각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직접적으로 후각 기능 상실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문제일 교수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초기단계의 베타아밀로이드 발현 메커니즘을 규명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단계에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며 "향후 치매 조기진단법, 치매 치료기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셀 데스 앤드 디지즈(Cell Death & Disease)' 온라인판(8월 10일)에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