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정운천 “김무성은 한국당과, 저는 국민의당과 공조”

정운천 “김무성은 한국당과, 저는 국민의당과 공조”

국민통합포럼 출범, "좌우이념 넘어서는 시대정신 발휘할 것"

- 文 정부 들어서도 계속되는 지역, 이념 갈등
- 국민통합포럼, '중간지대에서 통합정신 발휘하자'는 것
-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양 극단..중간 조율 필요해
- 정치개혁 1번 과제? 소선거구제 개편
- "김명수 후보자, 한 쪽에 쏠려 있어 아쉬워"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30~20:00)
■ 방송일 : 2017년 9월 20일 (수)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정운천 의원(바른정당)
 
◇ 정관용>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의원이 국민통합포럼이라고 하는 정책연구모임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정계개편과 떼려야 뗄 수 없어서 관심이 가죠. 바른정당쪽은 정운천 의원, 국민의당은 이언주 의원이 주도했다는데요. 바른정당의 정운천 의원을 연결해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정 의원, 안녕하세요.
 
◆ 정운천> 안녕하세요. 정운천입니다.
 
◇ 정관용> 국민통합포럼 어떤 모임이에요?
 
◆ 정운천> 이번에 나라가 이렇게 지역,이념 갈등 속에 빠져 있는데 심지어 문재인 정부가 와서 그 갈등을 이기지 못하고 그래서 우리가 중간지대에서 시대정신에 맞게 국민 동서통합, 지역통합이라는 통합의 정신을 한번 발휘해 보자, 그러한 취지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 정관용> 동서통합, 지역통합 그러다가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통합 이렇게 되는 겁니까? 
 
◆ 정운천> 아니, 그건 너무 예단하지 마시죠. 지금은 출발을 아주 가볍게 시작하신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바른정당 정운천의원(사진=도상진 기자)

 


◇ 정관용> 어떤 분들이 함께하십니까? 
 
◆ 정운천> 지금 우리 당에서는 하태경 최고위원, 김세연 정책위의장, 이종구 전 정책위의장 중량감 있는 분들이 9명이 참여했고요. 그다음에 국민의당에서는 이언주 의원, 황주홍, 정인화, 박준영 이런 좀 거기는 소장파 의원님들이 한 14명이 참여하기로 그렇게 했습니다.
 
◇ 정관용> 그러면 합해서 23명이네요.
 
◆ 정운천> 그렇습니다.
 
◇ 정관용> 현재로서는.
 
◆ 정운천> 네.
 
◇ 정관용> 얼마 전에 같은 당에 계신 바른정당의 김무성 의원이 자유한국당의 정진석 의원이랑 ‘열린토론, 미래’라고 하는 모임도 만들었잖아요. 그 모임하고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 정운천> 저도 거기도 참여하고 있어요.
 
◇ 정관용> 거기도 참여하세요?
 
◆ 정운천> 그러니까 너무 정치적으로 보지 마시고요. 우리 바른정당으로서는 우리 김무성 의원은 그쪽 한국당하고 연대하면서 뭔가 길을 찾아야 되고. 또 저로서는 우리 국민의당과 중간지대에서 이번에 입법공조 또 국정감사 공조를 할 수 있는데 저번에 안철수 당대표가 된 뒤에 우리 최고위하고 이렇게 얘기하다 보니까 공감대를 너무 많이 형성했어요. 선거구제라든지 지방자치제도랄지. 또 이번에 당대표 연설 내용들을 다 분석해 보니까 우리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서로 공조해서 뭔가 캐스팅보트를 쥐고 국민을 위한 그런 국회 입법을 충분히 할 수 있겠다. 그래서 그걸 한번 해 보자 하는 취지로 우리 통합모임을 가졌습니다.
 
◇ 정관용> 정운천 의원은 열린토론, 미래에도 참여하시고 이 국민통합포럼에도 참여하시고.
 
◆ 정운천> 그렇습니다.
 
◇ 정관용> 양쪽 다 참여하는 의원들이 많이 있습니까, 바른정당에.
 
◆ 정운천> 그렇게 많이는 없는데요. 저는 그러한 정치적인 공학의 개념을 생각하는 게 아니고 오로지 우리 바른정당이 국민을 위해서 좌우이념을 넘어서 제대로 한번 해 볼 수 있는 게 뭐냐 이걸 찾아냈을 때 국민의 지지를 받는다고 생각하거든요.
 
◇ 정관용> 정치적 공학까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서로 당을 달리 하는 정치인들이 이런 모임을 하는데 어떻게 제가 정치적으로 해석 안 할 수가 있겠습니까?
 
◆ 정운천> 그건 그쪽 사정인데 저는 그렇게 가겠습니다.
 
◇ 정관용> 아니 내친 김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도 하나 모임을 만드시지 그러세요.
 
◆ 정운천> 아니, 더불어민주당하고 지금 한국당하고는 양극이라고 보고요. 우리는 중간지대에서 그걸 조율하고 국민을 위해서 뭔가 공조해서 제대로 되는. 지금 프랑스의 마크롱 그러한 중도, 실용,민생 쪽에서 그런 선거혁명을 일으켰는데 그러한 걸로 우리도 국민들이 그러한 방향을 앞으로 원할 거라고 그게 바로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합니다.
 
◇ 정관용> 동서통합, 지역통합을 하는 정치개혁의 1번 과제는 뭐가 될까요.
 
◆ 정운천>  당연히 이제 양당체제 그렇게 지역 갈등을 부추겼던 소선구제 이런 것을 옛날 얘기로 만들어야죠. 선거구제 개편이 무엇보다도 국민의 뜻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정당체제를 만들어야 된다. 1번 개혁은 선거구제 개편입니다.
 
◇ 정관용> 그럼 소선거구제 대신에 중대선거구제로 가는 겁니까? 아니면 독일식으로 가는 겁니까?
 
◆ 정운천> 그렇죠. 중대선거구나 연동형 비례대표제라 할지 국민의 모든 지지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지금 소선구제는 지지를 다 반영을 못하거든요.
 
◇ 정관용> 사표가 많죠, 그러니까. 연동형 비례대표나 중대선거구제는 국민의당도 동의하는 거죠?
 
◆ 정운천> 지금 서로 그건 찰떡궁합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정관용> 그리고 개헌에까지도 연결되는 거 아닙니까, 그 문제가?
 
◆ 정운천> 일단 개헌특위는 개헌특위대로 지금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 국민 투표 하기로 했으니까 거기하고 연이어서 이건 헌법이 아니고 법률이니까요. 선거구제는 법률대로 우리가 함께 연동으로 나갈 수 있도록 추진할 생각입니다.
 
국회 본회의장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 정관용> 주로 이 정치와 관련된 의제와 아젠다만 지금 말씀하셨는데 정기국회에 각종 민생 관련된 또 경제 관련된 법안들 거기에 대해서도 이 국민통합포럼에서 함께 작업을 하시는 겁니까? 어떻게 되는 겁니까?
 
◆ 정운천> 그렇습니다. 저번에 김동철 대표의 정당대표 연설에서 정말 일자리 많이 만드는 규제프리존법이랄지 지금 사장돼 있는 서비스산업법이랄지 이러한 법은 국민을 위해서 정말 필요한 법이거든요. 그런데 이러한 양당의 당리당략을 뛰어넘어서 이번에 제대로 해 보자 하는 법안들을 일주일마다 모아가지고 공동 발표를 하는 걸로 지금 추진을 할 생각입니다.
 
◇ 정관용> 일주일마다 모여서 공동 발표한다. 알겠습니다. 전화연결된 김에 내일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준표결이 있는데 바른정당은 당론을 정했습니까?
 
◆ 정운천> 아직 안 정했고요. 내일 의총 선거 전에 의총을 하기로 했습니다. 의원총회.
 
◇ 정관용> 그래서 당론 투표로 갑니까? 아니면 의원들 개인에게 맡깁니까?
 
◆ 정운천> 내일 가서 회의를 하는데요. 저번에 김이수 헌법재판소장도 당론으로 하지 않고 자율투표 했거든요. 그런데 아마 내일 그렇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인데요. 내일 가봐야 알겠습니다.
 
◇ 정관용> 정운천 의원은 개인적으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 정운천> 정말 이 나라가 지금 흔들리고 불안해하고 있고 또 국가원로가 지금 많이 부재한 상황이기 때문에 최대한 이 나라에 중심이 되는 대법원장만큼은 모든 국민이 중심에 바로설 수 있는 분이 됐으면 하는 정말 아쉬움이 있죠. 한쪽에 쏠리는 많은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저는 좀 굉장히 아쉽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중심을 잡는 분이 아니라 한쪽에 쏠린 분이라고 보신다.
 
◆ 정운천> 그렇게 나와 있지 않습니까?
 
◇ 정관용> 그래서 정운천 의원은 인준에 반대한다?
 
◆ 정운천> 우리 당론에 따라야죠.
 
◇ 정관용> 내일 당론 지켜보고.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 들을게요. 고맙습니다.
 
◆ 정운천> 감사합니다.
 
◇ 정관용>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이었습니다.

[CBS 시사자키 홈페이지 바로 가기]
[CBS 시사자키 페이스북 페이지 바로 가기]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