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여성폭력의 현실과 심각성을 알리고 피해자 생존·치유를 지지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성인권영화제'(Film Festival for Women's rights, 피움)가 올해로 11회를 맞았다. 올해 영화제는 '지금, 당신의 속도로'(Keep going on with your pace)라는 슬로건 아래 12개국 35편의 작품을 준비했다. 각자의 속도로 세상의 변화를 만들고 있는 여성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위해, CBS노컷뉴스는 한국여성의전화 주최로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 아트하우스에서 5일 간 진행되는 '제11회 여성인권영화제' 현장을 전한다. [편집자 주]
제11회 여성인권영화제에서 상영된 영화 '동경소녀' (사진=피움 홈페이지)
영화 '동경소녀'의 주인공 선아는 스스로를 평범하고, 아무것도 아닌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를 둘러싼 일상은 흥미롭지도 않고 위로를 주지도 못한다.
두 눈이 아니라 카메라 뷰파인더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신호등이 빨간불이건 말건 거리낌 없이 건너는 자신만의 작은 반항을 일삼으며 살아간다.
선아는 고장난 카메라를 고치기 위해 간 사진관에서, 사진도 잘 찍고 다정하게 다가오는 '어른' 형남을 만난다. 형남은 '넌 너의 매력을 잘 모르는 것 같다' 등의 말로 스스로를 보잘 것 없다고 여기는 선아의 빈틈을 파고든다.
'사진'을 매개로 가까워진 형남에게 동경과 달뜬 호감을 품었던 선아는 어느 순간 어떤 선을 넘게 되고, 순식간에 환상이 깨지고 만다.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 아트하우스에서 영화 '동경소녀' 감독과의 대화가 열렸다. 이미 감독의 말을 통해 "말이 안 되어도 마음이 짐작가는 영화, 알 수 없는 미묘한 마음들과 설명할 수 없는 감정들이 너울대는"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고 밝힌 박서영 감독은 '특별함'을 발견해 주었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세계가 흔들리는 소녀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영화 '동경소녀'의 한 장면 (사진='피움' 홈페이지)
박 감독은 "저희에게는 뻔히 보이는 얕은 수도 보이지 않는 고등학생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사랑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특별하다고 말해주면 세상이 흔들리는"이라며 "또, 약한 어른이 그 소녀에게 행사할 수 있는 폭력을 말하고 싶었다. 그래서 (소녀가) 동경하던 세계가 깨지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영화에서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주인공 '선아'의 모티프가 된 인물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여러 명이었다고 생각된다. 저일 수도 있고 제 친구일 수도 있다"고 답했다.
박 감독은 "여고를 다녔는데 주변에도 이런 아이들이 많았던 것 같다. 사랑받고 싶어서 온갖 일을 다 벌이는. (그런 친구들은) 대부분 자존감이 굉장히 낮아서 남한테 흔들리고, 누군가 나쁜 짓을 해도 그게 나쁜 짓이라고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그런 모습을 담기 위해) 이 영화를 만들게 됐다"고 밝혔다.
영화 도입부에서 친구들과 달리 무단횡단을 하던 선아가 후반부에는 남들과 똑같은 때에 신호를 건너는 것에 대해서는 선아의 '변화'를 그리고 싶었다고 전했다.
그는 "다른 아이들과 같은 속도로 걷지도 않고 카메라를 통해 사물을 본다. 빨간불에 건너는 것도 자기가 뭔가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세계가 있고 거기로 나아가려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형남과의 일을 겪고 나서는 그 애가 보는 세상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카메라를 놓고 있는 그대로 세상을 보게 되면서 평범해지는 과정을 그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에서 자존감이 낮은 선아가, 형남과의 관계처럼 또 다시 상처를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선에 대해서는 "(반복해서 상처를 받는 것은) 아닐 거라는 생각으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답했다.
이어, "(선아는) 특별하다는 얘기를 되게 중요하게 생각하고 마음에 남기는 편이다. 그런데 (형남은) 관계를 할 때에도 (선아에게) 그런 말을 반복한다. (이 장면을 통해) '아, 이 사람이 그냥 나한테 이러려고 했던 말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게끔, 그래서 그 사람에 대한 환상이 깨지게끔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