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몰려 억울한 징역살이

제주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몰려 억울한 징역살이

    [제주4.3수형인]⑯임창의 "너무 많은 사람이 죽었어…이유도 모르고"

    제주4·3(1947.3~1954.9)으로 제주도민 3만 여명이 죽고 민간인 2500여명이 군사재판을 받았다. 이들 수형인들은 고문 후유증으로 감옥에서 죽거나 살아남은 자는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와 함께 억울한 삶을 살아왔다. 현재 신고된 수형 생존자는 33명. 이 가운데 18명이 지난 4월 19일 제주지방법원에 '4·3수형희생자 불법 군사재판 재심'을 청구했다. CBS 노컷뉴스는 이들 18명의 기구한 삶을 소개한다. 기사는 수형 생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인터뷰 형식을 취했다. 당시 나이는 수형인명부를 따랐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양근방(84·당시 16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2. 정기성(95·당시 27살): 1949년 7월 1일, 무기징역(마포)
    3. 박내은(86·당시 21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4. 오영종(87·당시 20살): 1949년 7월 3일, 징역 15년(대구)
    5. 조병태(88‧당시 18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인천)
    6. 부원휴(88‧당시 18살): 1948년 12월 15일, 징역 1년(인천)
    7. 박동수(84‧당시 18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8. 오희춘(84‧당시 18살): 1948년 12월 10일, 징역 1년(전주)
    9. 김평국(87‧당시 18살): 1948년 12월 5일, 징역 1년(전주)
    10. 현우룡(94‧당시 26살): 1949년 7월 2일, 징역 15년(대구)
    11. 현창용(85‧당시 16살): 1948년 12월 9일, 징역 5년(인천)
    12. 한신화(95·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13. 김경인(85‧당시 18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4. 양일화(88‧당시 16살): 1948년 12월 27일, 징역 5년(인천)
    15. 오계춘(92‧당시 25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전주)
    16. 임창의(96‧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1년(전주)
    17. 김순화(84‧당시 17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8. 박순석(89‧당시 21살): 1949년 7월 7일, 징역 3년(전주)
    19. 재심청구 변호인단
    20. 제주 4‧3도민연대

    임창의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몰려 형무소에 갔습니다. 나는 남로당을 모른다고, 나를 지목한 사람을 대면해 달라고 그렇게 말했는데도 고문하고…"

    제주시 도두동 임창의(96) 할머니는 지난 1948년 4·3 당시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몰려 억울한 옥살이를 했다.

    동네 순경이 찾아와 '남로당 부인회장'이라고 지목한 뒤 지서에 끌려가 고문을 당했고, 결국 허위자백을 했다. 당시 임씨의 나이 27살 때다.

    당시 제주읍 도두리로 불리던 도두동은 이른바 '빨갱이 동네'로 찍혀 집단학살이 자행될 만큼 4·3피해가 컸다.

    제주시 도두동에 위치한 현재 제주국제공항 서북쪽 끝에 있는 '돔박웃홈'이라는 집단학살터가 당시 참혹했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4·3 유족회에 따르면 돔박웃홈은 도두마을 주민뿐만 아니라 소개명령으로 도두리에 온 사람들이 수 차례에 걸쳐 집단 학살된 곳이다.

    1949년 1월 12일~14일 도두동 다호마을과 몰레물 주민 50여 명이 이곳에서 집단 학살됐다.

    임창의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1921년 도두에서 태어나 평생을 부모님 농사만 도왔던 임씨 또한 4·3의 그늘을 벗어날 수 없었다.

    임씨는 1941년 동네에서 뱃일하던 남편과 결혼한 뒤 1948년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몰려 억울한 옥살이를 한다.

    당시 남편은 신혼 초 바다에 나간 뒤 수년째 돌아오지 않아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제 생각으로는 죄를 만들려고 취조관들이 남로당 부인회장으로 내몬 것 같아요. 아니라고 부인하면 나무를 다리 사이에 넣어서 돌려 버리고, 무지하게 팼어요. 낮에는 순경이 사람들을 죽이려 하고, 밤에는 산 사람(무장대)들이 죽이려던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임씨는 경찰에서 고문을 받고 제주항을 통해 전주형무소로 옮겨진다. 자신이 무슨 죄를 지었는지, 재판이 있었는지 조차 알지 못했다.

    추미애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99년 9월 15일 당시 정부기록보존소에서 발견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임창의 할머니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8년 12월 28일로 기록돼 있다. (사진=4.3수형인 명부, 문준영 기자)

     

    국가기록원에 보존 중인 제주4·3 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임창의 할머니의 군법회의 재판은 1948년 12월 28일로 기록돼 있다. 징역 1년이었다.

    "경찰서에 있다가 제주항에서 배를 타고 형무소로 갔습니다. 포승줄에 묶여서 탔는데, 그 안에 죽은 애기를 업어가는 여자도 있었어요. 징역 간다는 것도 모르고 잡혀간 거죠."

    4.3당시 제주항 모습. 군법회의를 받은 수형인들은 이곳 제주항을 통해 전국 각지에 있는 형무소로 옮겨졌다. 점선 안은 미군 LST(사진=미국립문서기록관리청 소장, 4.3진상보고서)

     

    임씨는 전주형무소에 옮겨진 뒤 조금 있다 안동형무소로 이감된다.

    형무소에서는 20명~30여 명이 한 방에서 지냈다. 담요 2장으로 겨울을 났고, 임신한 수형인이 있어 동료들과 아이를 받기도 했다.

    평일에는 배를 타고 강을 건너 배나무 꽃을 솎았다. 출소하고 나면 '붉은 글(전과)이 남지 않을 것'이라는 형무소 여성 간수의 말을 믿고 수형생활을 버텼다. 형만 살면 모든 게 끝날 줄 알았다.

    하지만 제주에 와서도 4·3의 비극은 계속됐다.

    "제주에 내려왔는데 큰 오빠가 죽고 없었습니다. 제가 형무소에 있을 때 벌어진 일이였어요. 아버지와 오빠가 경찰에 잡혀갔는데 아버지는 살고, 오빠는 총살을 당했습니다. 그때가 음력 섣달 9일입니다. 제사 때문에 오빠가 죽은 날을 기억하고 있어요. 제주시에 살던 오빠가 도두동에 잠깐 왔는데, 그때 붙잡혀 죽었습니다. 오빠가 왜 죽었는지 아직도 그 이유를 모릅니다."

    4·3은 억울한 옥살이도 모자라 가족까지 앗아갔다. 임씨는 더 이상 도두에 살 수 없어 제주시로 거주지를 옮겼다.

    임창의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맺힌 한을 가슴에 품고 지낸지 70년이 흘렀다. 구순이 다 돼서야 임창의 할머니는 4·3을 말하기 시작했다.

    "너무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그때 시국이 그랬다고 해도, 죄지은 사람들만 죽이지 왜 다른 사람들 까지 죽입니까. 저는 그게 제일 억울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부모와 동생, 형, 오빠, 가족을 잃었습니다. 그게 너무 억울합니다."

    그녀의 죽기 전 소원은 이 억울함을 푸는 것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