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제주

    '학살'이란 말 한마디에 재판없이 옥살이

    [제주4.3수형인]⑰김순화 "지금도 부모가 왜 총살당했는지 몰라"

    제주4·3(1947.3~1954.9)으로 제주도민 3만 여명이 죽고 민간인 2500여명이 군사재판을 받았다. 이들 수형인들은 고문 후유증으로 감옥에서 죽거나 살아남은 자는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와 함께 억울한 삶을 살아왔다. 현재 신고된 수형 생존자는 33명. 이 가운데 18명이 지난 4월 19일 제주지방법원에 ‘4·3수형희생자 불법 군사재판 재심’을 청구했다. CBS 노컷뉴스는 이들 18명의 기구한 삶을 소개한다. 기사는 수형 생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인터뷰 형식을 취했다. 당시 나이는 수형인명부를 따랐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양근방(84·당시 16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2. 정기성(95·당시 27살): 1949년 7월 1일, 무기징역(마포)
    3. 박내은(86·당시 21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4. 오영종(87·당시 20살): 1949년 7월 3일, 징역 15년(대구)
    5. 조병태(88‧당시 18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인천)
    6. 부원휴(88‧당시 18살): 1948년 12월 15일, 징역 1년(인천)
    7. 박동수(84‧당시 18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8. 오희춘(84‧당시 18살): 1948년 12월 10일, 징역 1년(전주)
    9. 김평국(87‧당시 18살): 1948년 12월 5일, 징역 1년(전주)
    10. 현우룡(94‧당시 26살): 1949년 7월 2일, 징역 15년(대구)
    11. 현창용(85‧당시 16살): 1948년 12월 9일, 징역 5년(인천)
    12. 한신화(95·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13. 김경인(85‧당시 18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4. 양일화(88‧당시 16살): 1948년 12월 27일, 징역 5년(인천)
    15. 오계춘(92‧당시 25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전주)
    16. 임창의(96‧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1년(전주)
    17. 김순화(84‧당시 17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8. 박순석(89‧당시 21살): 1949년 7월 7일, 징역 3년(전주)
    19. 재심청구 변호인단
    20. 제주 4‧3도민연대

    김순화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제주시 건입동에는 산지천이 흐른다. 과거 사람들은 바다와 천(川)을 잇는 이곳을 '산지'라 불렀다.

    산지는 제주항이 있어 상업이 발달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주요 항로로 이용됐다. 자연스레 시설이 밀집됐고, 사람들이 모였다.

    일제는 지난 1934년 산지 인근에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회사) 주정공장을 설립해 운영했다.

    주정공장은 1945년 해방 후 제주의 주요 산업시설로 이용됐지만, 4·3사건이 발발한 뒤에는 이곳 일부 창고가 민간인 수용소로 활용됐다.

    4·3이 극에 달했던 1949년 중산간으로 도망갔던 사람들이 대거 하산하며 동네 지서로 잡혀왔고,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열악한 환경과 질병, 고문 후유증 등으로 많은 사람이 이곳 주정공장에서 세상을 등졌다.

    제주4.3 당시 귀순자를 집단으로 수용했던 제주항 부근 주정공장. (사진=미국립문서길고 관리청 소장,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

     

    제주시 삼양 출신인 김순화(84) 할머니도 17살이던 1949년 중산간으로 도망갔지만 경찰에 붙잡혀 동척회사로 옮겨진 경우다. 김 할머니는 70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 상황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제주시 삼양동에 살다가 4·3이 일어났어요. 1949년 동네 사람들을 죽인다고 해서 산에 올라갔습니다. 바로 옆 동네인 회천으로 도망갔어요. 나중에 살려준다고 해서 내려갔다가 붙잡힌 겁니다. 저는 동척회사로 옮겨졌는데, 조사관에게 부모님이 '학살' 당했다고 했다가 뺨을 맞았습니다. 이후로 고문은 없었고, 3개월 정도 머물다 전주형무소로 갔습니다."

    김씨의 부모님은 4·3당시 지서에 옮겨져 총살당했다. 김씨는 70년이 지난 지금도 부모님이 왜 죽었는지 알지 못한다.

    그녀가 유일하게 기억하는 건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부모님 시신을 지서에서 가져와 묻은 모스뿐이다. 그녀 나이 열여섯 때 벌어진 일이다.

    "학살의 뜻을 몰랐죠. 그냥 사람들이 쓰니까, 뜻도 모르고 조사관 앞에서 부모님이 '학살'당했다고 말해 버린 거죠. 그래서 형무소 생활을 했습니다. 재판도 받지 않고 동척회사에서 곧바로 배를 타고 형무소로 옮겨졌습니다."

    추미애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99년 9월 15일 당시 정부기록보존소에서 발견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김순화 할머니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9년 7월 7일로 기록돼 있다. (사진=4.3수형인 명부, 문준영 기자)

     

    국가기록원에 기록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김씨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9년 7월 7일로 기록돼 있다.

    김씨는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억울한 옥살이를 했다. 소녀범으로 취급돼 노동은 하지 않고 방에만 갇혀 지냈다.

    일주일에 한 번씩 교회에 나가 예배하고 찬송가 부르는 게 수감 생활의 전부였다.

    김씨는 재심을 청구한 18명 중 1명인 김경인(85) 할머니와 같은 방에서 생활했다.

    당시 김씨와 김경인 할머니는 형무소에 함께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서로의 왼팔에 바늘로 문신을 새겼다.

    "김경인과 함께 감옥에 있었어요. 그때 감옥에 바늘 하나가 있어서 서로 왼쪽 팔에 문신을 새겼어요. 나중에 재심청구 준비하면서 수형인들 만날 일이 있었는데, 그때 서로를 알아본 거죠."

    김순화 할머니가 4.3당시 형무소에서 왼쪽 팔에 새긴 문신을 가리키고 있다. (사진=문준영 기자)

     

    김순화 할머니는 인터뷰 도중 왼쪽 팔에 동그랗게 찍힌 초록색 문신을 손으로 가리켰다. 그녀는 문신을 보며 한참 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김씨는 수감생활을 마치고 제주에 온 뒤 형무소에 간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않았다.

    이후 친언니의 도움으로 제주시 삼양에서 용담동 해안 마을인 '다끄네'로 이사와 가정을 꾸렸다.

    김씨는 자식을 낳고도 4·3에 대해 일언반구하지 않았다. 가족들이 연좌제로 피해를 볼까 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김씨는 70년이 지나서야 자신과 같은 수형인들을 만나며 곪고 곪은 통한의 세월을 밖으로 꺼내겠다고 마음먹었고, 재심을 결심했다.

    "그때만 생각하면 정말 속상합니다. 국가가 사과한다고, 보상한다고 해도 지금 늙어버린 세월이 해결되는 건 아닙니다. 내일이라도, 모레라도 죽을 수 있는데. 이 일만 생각하면 당장이라도 울고 싶습니다. 너무 속상합니다…"

    김씨는 지난 4월 19일 제주지법에 재심을 청구하러 밖을 나선 뒤 집을 나가본 적이 거의 없다.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노쇠했기 때문이다. 매월 진행되는 4·3수형인 모임에도 더 이상 참석하지 못하고 있다.

    김순화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인터뷰 내내 거친 숨을 몰아쉬던 김씨에게 마지막으로 할 말이 없느냐고 물었다.

    김씨는 "만약 다시 4·3사건이 다시 일어나면, 곧바로 죽어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