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美 국무부 내 한국계 포진···대북 정책 '초점 맞추기'?

국방/외교

    美 국무부 내 한국계 포진···대북 정책 '초점 맞추기'?

    전문가들 "최근 5년새 아태지역 이슈 부상하면서 자연스러운 현상"

    (사진=자료사진)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이어지면서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의 시선이 아태지역과 한반도 위기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등 동아시아 정책 담당 외교안보팀이 동아시아 전문가이자 '한인 2세'들로 채워져 눈길을 끈다.

    우선 한인 1.5세인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대표적이다. 대북정책특별대표는 미국의 북핵·한반도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다.

    그는 1985년 외교관 생활을 시작해 한국과 태국, 프랑스, 인도네시아, 홍콩 등에서 근무하는 등 '아시아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2013년 말레이시아 대사 부임 이전에는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수석부차관보를 맡아 동아시아 정책을 총괄했다.

    빅터 차 주한 미국대사 내정자 역시 1961년 뉴욕에서 태어난 한인 2세다.

    2004년 12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으로 발탁돼 조지 W 부시 정부의 아시아 정책을 보좌했고,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한국 석좌를 맡았다.

    그는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자 "CSIS 자체 분석 자료는 대북 포용정책이 북한의 미사일과 핵실험을 중단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대북 강경노선을 펴기도 했다.

    이외에도 엘리엇 강 차관보 대행과 그레이스 최 동아태 담당 대변인도 한국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한국계란 점만으로 미국이 대북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최근 5년 사이 대북 상황이 악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중요 직책을 맡게 됐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고명현 아산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들은 한국계지만 미국인"이라면서 "미국의 대북 정책과 관료들의 출신지를 연결짓기는 무리"라고 전제했다.

    그러나 "본래 미국 국무부의 중점 부서는 중동이나 유럽이다. 하지만 최근 5년새 아태 지역의 상황이 부각되면서 이전부터 아태 지역에 관심을 갖고 있던 한국계 미국인들이 자연스럽게 눈에 띄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렇듯 동아시아 전문가들이 국무부 내 포진했지만, 한편으로는 미국의 대북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의 목소리도 높다.

    빅터 차 주한 미국대사 내정자의 임명이 연내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말폭탄' 주고받기가 계속되면서 뚜렷한 대책없이 군사적 긴장감만 높아지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