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으로 초등학교 1∼2학년에 대한 한글 교육이 강화됐지만 정규 국어 수업만으로는 한글을 깨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평가원 연구진은 초·중등교육 전문 학술지 '교육과정평가연구' 최근호에 기고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解得)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논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연구진이 전국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405명)와 학부모(1천26명), 장학사(130명) 등 1천56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한글을 전혀 읽지 못하는 학생도 학교 수업만으로 깨칠 수 있다고 답한 교사는 조사 대상의 10.6%에 그쳤다.
교사의 31.9%는 한글 해득을 위한 읽기 능력 최저 수준으로 '받침 없는 글자를 읽는 수준'을 꼽았고, 다음으로 '자모음 읽기'(24.4%), '간단한 받침이 있는 글자 읽기'(21.5%)라는 응답이 많았다.
쓰기 능력 최저 수준으로는 '받침 없는 글자를 쓰는 수준'(29.1%), '자모음을 읽는 수준'(28.9%), '간단한 받침을 읽는 수준'(22.5%)이라는 답이 많았다. 한글을 전혀 못 쓰는 학생도 학교 수업으로 한글을 깨칠 수 있다는 답은 9.9%뿐이었다.
학부모 인식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글을 전혀 모르고 입학한 뒤 국어 수업만으로 한글을 배울 수 있다고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답이 40.0%였고, '보통이다' 28.1%, '그렇다' 32.0%였다.
한글 해득 수준이 입학 이후 교과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교사·학부모 비율이 70.6%에 달했고, 전체 응답자의 35.4%는 1학년 겨울방학 이후까지 영향이 이어진다고 응답했다.
장학사들은 한글 해득력 향상 지원을 위한 교육청(교육지원청) 차원의 전문인력 현황에 관한 질문에 82.3%가 '별도 전문인력이 없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절한 한글 교육을 위해서는 공교육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며 학생 수준 진단 프로그램과 한글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글 교육 전문가 배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