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문화재청 제공)
전라북도 장수군에 위치한 ‘장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재갈 등의 마구(馬具)류와 토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고 문화재청이 8일 밝혔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백두대간의 서쪽에 자리한 가야계 고총고분군(高塚古墳群, 봉분 높이가 높은 고분군)으로 고분 80여 기가 자리하고 있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의 허가를 받아 장수군(군수 최용득)과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유철)이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발굴조사를 시행한 고분은 이중에서 30호분이다.
봉분 규모가 남북 17.0m, 동서 20.0m, 잔존높이 2.5m 내외의 타원형 형태이다.
봉분 안에는 무덤 주인이 묻힌 돌널무덤 양식의 주곽 1기와 껴묻거리 등을 묻는 부곽(副槨) 2기가 배치되어 있다. 주곽은 당시의 지표면과 흙 표면을 고른 후 1m 내외의 높이로 흙을 쌓고 다시 되파기하여 쌓아 올렸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은 마구류와 각종 토기류이다. 특히 30호분 주곽(主槨)에서 확인된 마구류는 재갈(板轡, 판비), 발걸이(鐙子, 등자), 말띠꾸미개(雲珠, 운주), 말띠고리(鉸具, 교구) 등으로 다양하다.
문화재청은 "이중, 재갈은 고령 지산동44호분, 합천 옥전M3호분, 함안 도항리22호분, 동래 복천동23호분 등 경상도 지역의 주요 가야 수장층 무덤에서 출토된 바 있는 유물로 이 무덤의 주인공 역시 가야 수장층임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목긴항아리(長經壺, 장경호), 목짧은 항아리(短頸壺, 단경호), 그릇받침(器臺, 기대), 뚜껑(蓋, 개) 등의 토기류도 출토되었다.
문화재청은 "출토된 토기들이 백제, 소가야, 대가야의 토기류와 혼재된 양상이어서 고분 축조 집단이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다른 지역과 교류해온 사실과 생존시 이뤄온 문화 양상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했다.
이어 "고분 축조방법과 출토유물 등을 미뤄볼 때 30호분은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추정하며, 고분의 구조와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되어 장수지역의 가야 묘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오는 9일 오후 1시 현장 설명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