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언론 뉴스 유통 제어권 상실…"구글·페이스북 의존도 낮춰야"

미디어

    언론 뉴스 유통 제어권 상실…"구글·페이스북 의존도 낮춰야"

    언론진흥재단 저널리즘 콘퍼런스, "공정·투명 알고리즘 필요"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 기업이 만든 뉴스 서비스로, 위기에 몰린 전통적 저널리즘의 개선을 위해 관련 업계와 학계가 머리를 맞댔다.

    1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저널리즘 콘퍼런스에서 윤영철 연세대 교수는 "한국 저널리즘은 신뢰의 위기라는 악순환에 갇혀 있다"며 진단했다. 전통적 미디어의 광고 수입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콘텐츠 질이 낮아지고 신뢰가 저하돼 열독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또 "언론사가 뉴스 유통 채널에 대한 제어권을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독자 주목도와 관심도 등을 토대로 결정하는 알고리즘 아래에서는 양질의 기사가 살아남을 수 없다"면서 "투명성과 공공성을 갖춘 뉴스 편집 알고리즘을 개발해 각종 플랫폼에서 사용하게 하는 방법으로 저널리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에이미 벨 컬럼비아대 교수는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 기업이 만든 뉴스 서비스 현황을 알려야 한다"면서 "소셜미디어에서 자극적인 뉴스만 소비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 플랫폼이 언론을 흔들고 양질의 저널리즘을 저해하고 있다"며 구글·페이스북 등 거대 인터넷 기업에 대한 언론의 의존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벨 교수는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스 등을 예로 들며 "독립된 저널리즘에 대한 강한 믿음과 기술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성과를 이뤄냈다"며 성공 사례로 소개하기도 했다.

    카카오 이선영 포털부문 총괄 부사장은 "언론사가 소속 기자 중 10%만 '스타'로 만들더라도 수익이 발생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스타 저널리스트와 유료 콘텐츠 모델이 도입됐을 때 해당 매체의 브랜드 가치가 굉장히 달라질 것"이라고 수익 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아이린 제이리우 구글 아시아-태평양 뉴스랩 팀장은 "뉴스를 게임화(化)해서 게임을 플레이하듯 뉴스를 읽고 소비하도록 하는 것을 구상 중"이라고 전했다.

    김경호 한국신문협회 기조협의회장은 "포털에서 뉴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언론사에 지급되는 정보 제공료는 공개하기 어려울 정도로 낮다"며 구독료 현실화를 주문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