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한국 경제의 가장 어려웠던 시기로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를 지목하면서 "내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F 위기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비정규직 문제나 소득 격차를 심화시켜 우리 경제와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KDI(한국개발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해 14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7.4%는 지난 50년간 한국 경제의 가장 어려운 시기로 'IMF외환위기'를 지목했다.
'2010년대 저성장'은 26.6%,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5.2%, '1970년대 석유파동'은 5.1%로 그 뒤를 이었다.
'IMF 외환위기'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일로는 '금모으기 운동'이 42.4%로 1위였다. 이어 '대량실업'이 25.4%, '대기업, 은행 등 기업들의 파산 및 부도'는 17.6%였다.
IMF사태의 원인으로는 36.6%가 "외환보유고 관리, 부실은행 감독 실패 등 당시 정부정책에 있다"고 응답했다. 또 32.8%는 "정경유착의 경제구조, 부정부패 등 시스템이 원인이었다"고 답변했다.
외환위기를 조기 극복한 원동력으로는 54.5%가 "금모으기 운동 등 국민들의 단합"을 꼽았다. "구조조정·공공개혁"은 15.2%, "구제금융"은 15.0%였다. 원인은 정부가 제공하고, 극복은 국민들이 했다고 여기는 셈이다.
응답자의 24.5%는 IMF 위기가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 건전성 및 경쟁력 제고'를 불러왔다고 본 반면, 31.8%는 '소득격차와 빈부격차 확대 등 양극화 심화'의 원인이 됐다고 봤다.
특히 지금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88.8%), '안정적 직업 선호'(86.0%), '소득격차'(85.6%) 등을 증가시켰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다보니 응답자의 59.7%는 "IMF 외환위기가 내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당시 자영업자는 67.2%, 당시 대학생은 68.9%가 "삶에 큰 피해를 입었다"고 평가했다.
우리 경제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31.1%가 "일자리 창출 및 고용안정성 강화"를 꼽았다. 사회적 측면에선 32.7%가 "부정부패 척결을 통한 신뢰 구축", 32.5%는 "저출산 및 고령화 대책 마련"이라고 답변했다.
KDI 관계자는 "국민들은 외환위기 극복의 원동력으로 구조조정 등 개혁 노력보다 국민 단합을 더 높게 평가했다"며 "포용적 성장을 통해 사회 응집력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보여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