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사진=송호재 기자/자료사진)
한국수력원자력이 규모 7.0 수준으로 원전의 내진성능을 강화하는 사업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를 계기로 '극한 자연재해 대책(일명 후쿠시마 대책)'을 수립하고 그 일환으로 국내 원전 24호기 내 주요 안전정지유지필수계통 및 보조공통 부분 내진설계 규모를 기존 6.5(0.20g)→7.0(0.3g)으로 강화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김정훈 의원실에서 한국수력원자력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현재 국내 원전 내진성능 강화 진행 상황' 답변자료를 확인한 결과, 양산단층대 인근의 고리원전 2호기와 주변 동해안에 위치한 한울원전 1,2호기의 △안전정지유지필수계통 및 △보조 공통 부문 내진설계 진행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 원전에 대한 내진성능 강화 사업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산단층대 인근 고리원전 2호기의 경우, 11월 현재 내진성능 강화사업 진행률은 37%에 그쳤다. 대상 기기개수 312개 중 116의 개선을 마친 상태이다.
특히 고리원전 2호기의 내진성능 완료 기기개수인 116개와 강화 진행률 37%는 지난 2016년 9월에 김정훈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과 동일한 것으로 이는 1년 2개월 동안 내진성능 강화 사업이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은 "기기 교체를 위해 외국산 교체자재 구입, 품질검증 등이 필요해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고리원전 2호기 내진성능 강화 사업 목표 시기는 2018년 6월로 당초보다 2개월이 늦춰진 상태이다.
그러나 더욱 문제인 것은 한울원전 1,2호기의 경우로 이들 원전의 경우 아직 내진성능 보강대상기기조차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사진=김정훈 의원실 제공)
한울원전 1,2호기는 내진검증문서 제공이 건설계약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검증문서 미보유 기기가 많으므로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검증문서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한울원전 1,2호기는 설비용량 95만㎾의 프랑스형 원전(알스톰사)으로 지난 1988년과 1989년 각각 세워진 원전이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원전 내진성능 강화를 위해 프랑스 원전 설계사가 갖고 있는 내진검증문서를 구매하려고 추진했으나 지적재산권 문제 등으로 36건의 문서만 구매할 수 있었다"고 답변했다.
즉 한국수력원자력은 한울원전 1,2호기에 대한 주요 안전계통 자료 없이 30여년간 상업운전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한울원전 1,2호기에 대한 내진성능 강화사업이 한국수력원자력이 예측한 시기에 완료가 될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한울원전 1,2호기의 내진성능 강화사업 완료시기가 2018년 6월로 당초 계획보다 6개월이나 늦춰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 원전 24호기에 대한 내진성능 강화사업에 소요되는 예산을 총206억900만원으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2017년 11월 현재까지 내진성능 강화사업에 실제 소요된 비용은 132억 5천만원이었다.
21기의 원전 중에서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 원전은 고리원전 1호기와 월성원전 1호기 단 두 개 원전에 불과하였다. 나머지 19호기 원전은 아직도 심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다.
김정훈 의원실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사유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에 확인한 결과, 원전의 내진성능 강화사업은 규제기관 보고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올해 4월에서야 내진성능 강화가 완료된 원전을 통합하여 규제기관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한빛원전 5,6호기의 경우 지난 2015년 9월에 내진성능 강화사업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년 2개월째 규제기관의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김정훈 의원은 "중형지진이 연이어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내진성능 강화사업이 완료되지 못한 원전이 3개나 되며, 사업은 완료되었으나 규제기관의 내진성능 강화에 대한 최종 심사를 받지 못한 원전이 19개나 된다는 것은 국민들의 원전 안전 불안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연이은 중형지진으로 더 이상 우리나라도 규모 7.0 이상의 대형 지진 발생 가능성을 안심할 수 없기에 내진성능을 현재 7.0에서 7.5로 상향하는 내진성능 개선사업을 중장기 정책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