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유승민 대표(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사진=자료사진/이한형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간의 통합 논의의 시험대가 될 정책연대협의체가 가동 첫날부터 삐걱거렸다. 유승민 대표가 국민의당 뿐 아니라 자유한국당과의 통합도 동시에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안철수 대표가 불만을 드러내 양당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냉기류 속에서 그나마 국민의당이 강하게 추진하는 5·18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에 바른정당이 협조할지가 연대의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3+3'→ '2+2'로 축소, 국민의당 소극적 "협의체라고 불러야하나"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정책연대협의체는 당초 각자 3명씩 '3+3'의 형태를 검토했다가 국민의당이 난색을 표하면서 '2+2'로 축소됐다.
이날 오전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는 "국민의당과의 정책연대협의체는 김세연·오신환·정운천 의원 3명이 창구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며 연대에 기대감을 표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협의체와 관련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용호 정책위의장은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과의 예산, 법안 문제가 주로 되지 않겠냐"며 "업무 일관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인 2명이 하는게 좋겠다고 결정을 했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특히 "협의체라는게 하늘서 떨어지는게 아니고 두사람과 두사람 만나면 그게 협의체"라며 "꼭 협의체라고 불러야 하느냐"며 협의체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또 당 통합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며 여러번 선을 그었다.
국민의당이 협의체를 2명으로 축소시키면서 바른정당도 정운천 의원을 제외하고 김세연, 오신환 의원이 협의체에 들어가기로 했다.
◇ 안철수, 한국당에도 손짓하는 유승민에 불만 드러내 … 양당 냉기류두 당에 흐르는 냉기류도 정책연대를 삐걱거리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유승민 대표가 '중도보수통합'을 목표로 국민의당은 물론 자유한국당에도 투트랙 통합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자 안철수 대표를 비롯한 통합파들은 난감해졌다. 호남 중진들이 '신 3당 합당'이라며 반발하는데 대해 할 말이 없어진 상황이 된 것이다.
안 대표도 유 대표가 한국당과의 통합 논의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에 대해 "안 될 시도는 하지 않는게 낫다"고 처음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안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당, 민주당 기득권 양당 세력과 손잡을 수 없다"며 "개혁세력이 결집하자고 해서 국민의당을 창당한 것이고 창당 초심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은 안 대표의 불만과는 상관없이 제 길을 간다는 입장이다. 바른정당의 한 의원은 CBS와의 통화에서 "국민의당의 내부 논의와는 상관없이 한국당과 동시에 통합을 추진하는 방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 5·18 특별법이 정책연대 바로미터, 바른정당 성의 보일까?
바른정당의 애매한 스탠스에 안 대표를 포함해 국민의당 전체가 혼란스러워진 상황 속에서 정책연대가 눈에띄는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예산이나 정책도 모든 부분을 공조하는게 아니라, 서로 맞는 부분을 선별적으로 공조하게 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나마 정책연대의 '바로미터'가 될 만한 법안은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특별법'이다.
그간 바른정당은 5·18 특별법 제정에 대해서 소극적인 자세를 취해왔으며, 탈당 사태 이전에 주호영 원내대표 체제에서 발표됐던 1차 정책연대에서도 해당 법안은 공통 의제에 포함되지 못했다.
이에 국민의당이 앞장서고 있는 5·18 특별법에 바른정당이 전향적으로 입장을 바꿀수 있을 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 호남 의원은 "바른정당이 국민의당과 정책연대의 최소한의 성의를 보이려면 5·18 특별법 제정부터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