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국내 가상화폐거래소가 해킹 공격을 당한 끝에 처음으로 파산을 선언했다.
가상화폐거래소인 유빗은 “당사가 운영하던 코인거래소 유빗을 19일부로 거래 중단, 입출금 정지 조치 및 파산의 절차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19일 밝혔다.
유빗은 이어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모든 코인과 현금의 입출금은 정지된다”며 “파산으로 인해 현금과 코인의 정산은 모든 파산절차에 준해 진행된다”고 말했다.
유빗은 파산의 이유로 이날 새벽 4시 35분쯤 발생한 해킹을 들며 이로 인해 발생한 코인 손실은 전체 자산의 약 17%이고 그 외 코인은 콜드지갑에 보관돼 있어 추가 손실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유빗은 회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날 새벽 4시 기준으로 잔고의 약 75%는 선출금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며 나머지 미지급된 부분에 대해서는 최종 정리가 완료된 뒤 지급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또 자신들이 가입한 사이버종합보험과 회사의 운영권 매각 등의 방안을 통해 회원 손실액은 17%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피해 최소화에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유빗의 전신인 야피존은 올해 4월에도 전자지갑 해킹 공격으로 55억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잃었고 이 때문에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유빗은 중소규모의 가상화폐거래소로 전체 자산 규모나 회원 수 등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최근 발족한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위원회의 회원사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가상화폐거래소가 국내 처음으로 파산을 선언하면서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지만 제도적으로 구제받을 방법은 없다.
가상화폐는 화폐도 금융상품도 아닌 만큼 투자에 따른 피해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라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해킹을 비롯한 사고가 거듭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국내 최대 가상화폐거래소인 빗썸에서는 지난 6월 이메일과 휴대전화 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일어나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집단소송에 나섰다.
빗썸은 또 지난달 12일에는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서버접속 장애가 발생해 손실을 봤다고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역시 집단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유빗이 지난 4월 해킹을 당한 데 이어 지난 9월 코인이즈가 해킹 공격을 받은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가상화폐거래소 마운트곡스가 2014년 해킹으로 5천억 원의 피해를 입고 파산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