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국형 발사체 10월 시험 발사…달 착륙은 10년 늦어져



IT/과학

    한국형 발사체 10월 시험 발사…달 착륙은 10년 늦어져

    과기정통부,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발표

    정부가 2020년까지 국내 기술로 달 탐사선을 쏘아올리겠다는 '달탐사' 계획을 2030년으로 10년 연기하고 한국형 발사체 개발에 집중키로 했다. 또 2035년까지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을 구축,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 성장에 발판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가우주위원회는 5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제14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과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일정 검토 및 향후 계획안'을 심의·확정했다.

    먼저 달 착륙 계획은 종전 2020년에서 독자적 행성탐사 기술이 확보·검증된 상황에서 한국형발사체를 이용한다는 전제를 달고 2030년으로 연기됐다.

    우주위원회가 달 탐사 계획을 늦추게 된 이유는 탐사 장비를 싣고 올라갈 한국형 발사체 개발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선 1.5톤 실용급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km)에 투입 가능한 3단형 한국형발사체를 오는 10월 시험 발사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고흥에서 시험발사체 부품이 조립 대기중"이라고 설명했다.

    시험발사가 성공하면 2021년 2월과 같은 해 10월에 본 발사를 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시험발사에 성공하면 '한국형발사체 성공발사 추진본부'를 구성할 계획이다. 또 '발사관리위원회'와 '비행시험위원회' 등 기술점검을 위한 협의체도 가동한다.

    2026년부터 '민간' 발사서비스를 개시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중·소형위성 발사서비스를 민간주도로 제공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또 달 착륙 후 차기 행선지를 달로 선택하는 것은 과학적인 가치가 적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 소행성 귀환으로 변경하여 2035년까지 추진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지구재진입 및 도킹기술은 2021년부터 개발에 착수한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달 탐사를 2030년 목표로 했는데 기술적 요건만 충족이 된다면 그 전에도 발사할 수 있다"며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장밋빛 비전은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현 가능한 시점을 목표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우주위원회는 또 4차 산업시대의 성장동력 기반인 위치·시각정보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한반도 인근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을 구축, 2035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KPS가 구축되면 현 GPS보다 훨씬 정밀하게 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밖에도 올해 중 '대한민국 인공위성개발 중장기 전략'을 수립 위성개발 체계를 효율화하고, 이와 별도로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을 세워 위성서비스를 단계적으로 고도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차관은 "오늘 수립된 기본계획에 제시한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 한국형발사체 발사, 달 탐사 성공, 우주일자리 1500명 등 5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