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文대통령 "한미 군사훈련은 내정 문제"…아베에 일침



국회/정당

    文대통령 "한미 군사훈련은 내정 문제"…아베에 일침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대북 관계 놓고도 이견

    문재인 대통령과 일본 아베 총리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연합군사 훈련에 대해 언급한 일본 아베 신조 총리에게 '내정간섭'이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군사 훈련은 미국과 협의해 결정한 문제인데 제3자인 일본이 나설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 9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가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단계가 아니다. 훈련을 예정대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평창 올림픽 이후가 고비다.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진지한 의사와 구체적 행동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말씀은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될 때까지 한미 훈련을 연기하지 말라는 말로 이해한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는 우리 주권의 문제이고 내정에 관한 문제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께서 이 문제를 직접 거론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단호한 표현을 써가며 불필요한 간섭을 일축했다.

    아베 총리는 평창 올림픽 전부터 한미 훈련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하며 문 대통령을 압박해왔다. 이에 여권에서는 "내정간섭적 말"이라며 "이에 대해서 분노를 느껴야 한다"(더불어민주당 이석현 의원)는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

    한미는 평창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동안 긴장 완화를 위해 키리졸브, 폴이글 등 한미 훈련을 실시하지 않고 연기해 놓은 상태다.

    훈련은 평창 올림픽 이후인 4월에 실시될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날짜를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한일 정상은 위안부 합의 문제를 놓고도 냉랭한 기류 역력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아베 총리는 '위안부' 합의에 대해 "위안부 합의는 국가 대 국가의 합의였다. 정권이 바뀌어도 지켜야 한다는 게 국제원칙"이라고 말했지만, 문 대통령은 "정부 간 주고받기식 협상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맞받아쳤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그분들이 입은 마음의 상처가 아물 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라고 피해자 중심의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다.

    아베 총리는 피해자들 의중이 반영되지 않은 국가간 합의로 위안부 문제에 종지부를 찍으려는 계산이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을 두고도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아베 총리는 "북한은 평창올림픽 기간 남북대화를 하면서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의 미소외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남북대화가 비핵화를 흐린다거나 국제공조를 흩뜨리는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며 "이런 분위기를 살려나갈 수 있도록 일본도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주기를 바란다"는 당부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